색으로 보는 음식, 검정콩?검정깨?흑설탕?검은쌀?오징어 먹물 등
자연계에 있어서 검은색은 특별한 색이다. 모든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스스로 열성을 지니게 되면서 나타나는 색이기 때문이다. 식품으로 흡수된 검은 색은 체내에서 우리몸에 불필요한 것들을 몸밖으로 내보내는 특징이 있다. 또한 검은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에는 항암작용과 진통, 진정 작용 등 여러가지 다양한 효능이 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검은 식품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효능을 알아본다. 가히 ‘약효의 보고’라 할 것이다.
▲검정콩
검정콩은 비타민이나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뛰어난 건강식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약효를 가지고 있다. 콜레스테롤을 분해하여 혈액을 맑게 해주는 사포닌, 혈관을 강화시켜주는 후라보노이드, 신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해주는 비타민B1, B2 가 들어 있다. 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안토시안계 색소 등 특히 중년 이상의 사람들에게 필요한 성분도 풍부하다. 한방에서는 검정콩을 인간의 성장이나 발육, 생식을 관장하는 신(腎)을 보충하는 식품으로 평가한다.
▲검정깨
검정깨는 예로부터 식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널리 쓰여왔다. 노화를 방지해주는 성분이 풍부해 불로장생의 묘약이라고까지 불려진 검정깨는 필수아미노산 등의 단백질이 풍부할 뿐 아니라 양질의 유지가 들어 있는, 영양학적으로도 뛰어난 식품이다.
철분의 함유량도 많아서 빈혈해소에도 효과적이며 또 깨에 들어있는 식물성 칼슘은 위에 부드럽게 작용하여 피부미용에도 효과가 있다. 검정깨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비타민E도 건강한 피부를 갖게 도와준다.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는 칼슘과 인은 뼈를 튼튼하게 해주어 골다공증을 막아준다.
▲흑설탕
흑설탕은 사탕수수로부터 추출된 정제되지 않은 설탕으로서 천연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이런 미네랄 성분은 노화를 방지하는 한편 혈행을 원활하게 해 혈압이나 콜레스테롤치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한방에서도 흑설탕은 간이나 신장의 작용을 원활하게 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본다. 또한 흑설탕은 긴장을 완화하고 피로를 제거하는 작용도 있기 때문에 과로나 스트레스로 신경이 날카로워져 수면을 취할 수 없을 때 흑설탕을 섭취하면 잠이 잘 오게 된다.
▲검은쌀
검은쌀은 현미의 겨 부분에 안토시안이라는 검은 색소가 함유되어 있는 흑색의 쌀로 예로부터 건강과 미용효과가 있는 쌀로 귀하게 여겨졌다. 흰쌀에 비해 비타민, 미네랄의 함유량이 많으며 특히 비타민B1, B2 나이아신과 비타민E 철 칼슘 등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한방의 고전이라 할수 있는 <본초강목>에는 검은쌀이 위장이나 간장, 비장, 신장 등의 내장활동을 활성화시켜 증혈 정력증강 자양강장 등의 여러가지 약효를 가지고 있다고 쓰여있다.
▲오징어 먹물
아무데도 쓸모없어 보이는 오징어 먹물. 하지만 최근엔 먹물을 이용한 과자가 나올 만큼 주목을 받고 있다. 새까만 오징어 먹물의 정체는 바로 멜라닌 색소로 오징어 먹물은 위액분비 촉진, 치질 등에 효과가 있다. 최근 일본에서 오징어 먹물이 항암 및 항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지면서 오징어 먹물이 첨가된 피자를 비롯 빵 라면 국수 등이 잇따라 개발됐다. 폐기물로 천대받던 오징어 먹물에 항종양 활성이 강한 일렉신 등의 뮤코다당류 성분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메 밀
메밀은 통변이 잘 되는 곡물로 알려져 있는데, 고혈압에 메밀이 좋다는 것은 바로 이 통변성과 관련이 있다. 메밀의 검은 겉껍질은 원활한 변통과 이뇨 작용을 돕고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 피를 맑게 해주기 때문에 혈관을 부드럽게 하고 혈압을 안정시켜 준다. 뿐만아니라 ‘루틴‘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뇌출혈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메밀은 그 성질이 서늘하여 무더운 여름철이나 체질적으로 열기와 습기가 많은 사람이 메밀을 먹으면 몸 속에 쌓여있던 열기와 습기가 빠져나가면서 몸이 가벼워지고 기운을 낼 수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메밀이 비위장의 습기와 열기를 없애주며 소화가 잘되게 하는 효능이 있어 1년동안 쌓인 체기가 있어도 메밀을 먹으면 체기가 내려간다고 기록하고 있다.
▲연 근
불교에서 극락세계를 상징하는 연(蓮)은 예로부터 장수 건강 명예 불사 행운 군자 등의 의미를 나타내왔으며 인도에서는 더러운 진흙탕 속에서도 깨끗하고 우아한 꽃이 핀다고 해서 가장 신성한 식물로 여겨져 왔다. 중국에서는 연을 불로장수 식품으로 취급해 ‘백병(百病)’을 예방할 수 있으며 ‘동안(童顔)흑발’을 만들어주는 약인 동시에 선식품(仙食品)이라 하여 귀한 대접을 해 왔다. 우리가 흔히 연근이라 부르며 먹고 있는 것은 바로 이 연의 뿌리이다. 연뿌리는 단백질 지방 당질 회분 철분 등과 비타민B군과 비타민C, 나이아신 등 우리몸에 필요한 영양소가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기관지천식, 신경피로, 감기, 각혈, 갱년기 장애에서 스테미너 부족증에 이르기까지 그 효능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