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탈북자 남녀 9명이 탄 어선이 일본 이시카와현 앞바다에서 발견됐다.
배 안에는 성인 남성 3명과 여성 3명, 어린이 3명이 타고 있었다.
제9관구 해상보안본부는 이 배를 신고를 받고 출동해 인근 가나자와항으로 어선을 견인해가 자세한 탈북 경위 등을 조사하고 있다.
이들 중 책임자라고 밝힌 남성은 "북한에서 왔고, 9명은 가족과 친척이며, 한국에 가고 싶다"대한민국으로 귀순의사를 밝혔다.
배는 전장이 8m 정도의 소형 목조 어선으로, 높은 파도에 뒤집히는 위험을 무릅쓰고 동해를 통해 탈출한 것으로 보여 진다.
2000년대 들어 거의 매년 이어지자 북한 당국의 통제와 감시가 강화됐다. 그 와중에도 선박을 이용한 남측으로의 귀순이 올해에도 2월과 6월 두 차례 있었다.
이번 가족 중심에 탈출이 가능했던 것은 북한군이 자체 운용중인 외화벌이 사업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한군 어업산업 수산기지 소속 배를 이용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책임자라는 남성이 조선인민군 부대 소속이라고 신분을 밝힌 것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현재 탈북자 9명은 나가사키 입국관리 시설로 이송 되었고 난민 지위를 부여받아 일시적으로 일본에 체류할수 있게 되었다.
이들은 기존 탈북 관례를 볼 때 한국행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일본 정부는 1987년과 2007년 두 차례 탈북자 가족을 태운 배가 일본에 표류했을 때 그들의 의사를 확인한 뒤 제 3국을 경유해 한국으로 보낸 적이 있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정부는 일본 정부와 논의하여 조속한 탈북자의 조속한 입국을 위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한국행을 원하는 탈북자들에 대해서는 '북조선 인권침해 대처법'에 근거해 한국 정부와 협의가 끝나는 대로 인도 시기와 절차에 대해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해역에 표류한 탈북자 일가족 4명에 관하여 일본 정부는 2007년 6월 당사자들의 희망대로 2주 만에 한국에 보낸 전례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