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상성(相反相成)’ 색채로 표현되는 추상
상태바
‘상반상성(相反相成)’ 색채로 표현되는 추상
  • 편집국
  • 승인 2011.06.10 1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연과 영원은 통합된 전체로 파악되어야 한다”

미술과 음악을 포함한 많은 예술가들이 의욕만으로는 자신의 예술형태를 남들에게 보여줄 만큼 갖추지 못한다. 결과물로서의 작품만이 그 작가를 대신 말해줄 수 있는 것이 당연한 것이기에 이러한 결과물이 나오기까지는 작가 삶의 대부분이 작품을 위한 삶일 때에만 가능해지는 것이다. 안인근 작가는 몇 백호 크기의 작품을 하며 열정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으로 볼 때 그는 분명히 삶의 가장 큰 비중을 예술에 두고 있는 것이 분명하며 그의 삶이 예술가적 기질에 녹아내려 있음을 확신하게 된다. <편집국>

작가가 힘든 시간들을 작업으로 견디어온 세월만큼 훌륭한 예술가들이 가지는 많은 직감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작품에 녹아들게 한다. 상반상성(相反相成)을 명제로 지난 5월19일부터 26일까지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열린 안인근 작가의 26번째 개인전에서도 작가의 그것이 그대로 녹아내려 있었다.

상반상성, 서로가 상반되지만 서로를 완성시킨다

상반상성(相反相成)이란 서로가 상반되지만 서로를 완성시킨다는 것으로 쉽게 설명될 수 있다. 이것은 귀한 것은 천한 것을 바탕으로 하며 높은 것은 낮은 것을 바탕으로 삼는다는 노자의 사상 중 기본이 되는 것으로 즉, 상반 없는 상성이란 그 의가 상쇠 한다는 것을 작가는 잘 알고 있다. 
“자연과 영원은 통합된 전체로 파악되어야 한다”고 말한 안인근 작가는 지난 1990년부터 명제를 ‘상반상성’으로 쓰며 지식이 아닌 직감으로 자신을 찾아 가고 있다.

안 작가는 강렬한 원색의 바탕위에 오브제를 사용하거나 물감을 흘려 상서롭지 않은 선을 그으며 정(靜)과 동(動), 동과 정이 함께 표현되는 화면을 정리하며 안정됨을 찾으려 했다. 여기에서 표현되는 상반상성은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노자의 논리를 만난 것으로 이해된다. 상반상성은 모순의 논리와도 같은 것이다. 창이 방패를 뚫거나 창을 막는 것과 같이 반대되고 또는 일치하는 것이다. 또 상반은 음양(陰陽)이다. 음양을 가장 적절히 표현하는 양 태극의 형태에서 에로스적 만남을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색채와 에로스(Eros), 정제되고 잔잔한 에로스를 느끼다

안인근 작가의 타고난 기질은 그의 뇌 속에 많은 추상적 형상이 내재되어 있게 하고 있으며 내재된 자질은 재료에(또는 색채) 맡겨져 만들어지는 의도되지 않은 형상 속에서 자신만의 표현방법으로 정리해 나가는 것에서 터치의 운율이랄까 리듬을 느끼게 한다. 강렬한 Red & Blue의 대비는 동양적 추상의 느낌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원색에 더해주는 약간의 색의 혼합으로 원색이 갖고 있는 높은 채도의 이미지를 절묘하게 비켜가는 감각은 높이 살만하다. 이렇듯 채도가 높은 색채대비에 의한 색들의 조합을 면적 대비로 해결하는 모습 또한 상반상성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삶과 에로스, 또는 미술과 에로스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단어이다. 미술 작품 속에서 에로스의 외형이 드러날 때 외설시비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지만,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들에게 외형 없이 상상에 맡길 수 있는 작품일 때는 예술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다. 잔인하거나 가학적인 표현이 난무하는 현대 미술속의 에로스에 비해 그의 작품에서는 지극히 정제되고 잔잔한 에로스를 느끼게 하는 것은 인간이 성적대상으로서의 형태로 비춰지기 보다는 추상적인 것과 기하학적 형태로 표현도기 때문이다.
“기하학적 표현이 화면에 어울리면서 감성에서 이성적으로 되어가는 것을 느끼게 된다”고 말하는 것으로 볼 때 기하학적 표현이 극도로 통제된 것이고 자제하는 내면으로부터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