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 불능의 구제역 확산…다음 주가 최대 고비
상태바
통제 불능의 구제역 확산…다음 주가 최대 고비
  • 정대근 기자
  • 승인 2011.01.10 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기, 사람을 통해 급속히 확산, 정부의 초동대응 미흡이 재앙 불러

지난해 11월29일 구제역이 최초 발생한 이후 40여 일이 지났다. 현재로서는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보다 발생하지 않은 지역을 세는 것이 더 수월할 정도로 악화된 상태다. 전남, 전북, 경남, 제주를 제외한 전국에서 구제역이 발생했고, 살 처분된 가축만도 이미 128만 마리를넘어섰다. 방역당국은 백신접종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모든 소와 모돈, 종돈에 대해 백신투여를 집중하는 등 나머지 지역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공기로 전파되기 때문에 그 확산속도가 상상을 초월한다. 이론적으로는 구제역에 감염된 한 마리의 소가 발산하는 바이러스로 천만 마리까지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까닭에 구제역이 발생하면 해당 농장으로부터 3km이내의 가축을 모두 살 처분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사람에 의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농장과 가축관리를 위해 오가는 분뇨, 사료, 수의사 등 차량과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이 소독이나 예방노력을 소홀히 하면서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방역당국은 전국 곳곳에 이동제한 초소를 설치하는 등 소독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축산과 관련된 이동인원과 차량이 워낙 많아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구제역 사태’가 이토록 악화된 데에는 미흡했던 정부의 초동대응이 한 몫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전형적인 ‘뒷북행정’이라는 것이다. 가장 큰 실수는 백신접종 결정 시기가 너무 늦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12월22일 백신접종을 결정했지만, 이는 실제로 구제역 의심증세가 나타난지 한 달이나 지난 시점이었다.

또한 살 처분 현장에 군병력 동원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 2000년 구제역이 처음 발생했을 당시에는 초기부터 군 병력이 투입돼 이동을 통제하고 살 처분 현장에서도 적극적인 지원활동을 펼친 바 있다. 이 결과 당시 3월20일 구제역 발생이 후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4월15일 상황이 종료됐고, 살 처분 가축도 2,200마리에 그쳤다.

이에 설상가상 백신을 접종한 뒤 구제역 양성판정을 받거나 의심증상을 보이는 사례가 늘고 있다. 충북 청원의 한 한우농가에서는 지난 4일 구제역 예방백신을 맞은 한우 한 마리가 구제역 확진판정을 받았다. 인천 강화와 강원도 횡성에서도 예방백신을 맞은 한우들이 잇따라 양성판정을 받기도 했다. 축산관계자는 “백신이 구제역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니다”며 “백신접종 이후 사후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백신은 85%의 방어력을 가지고 있을 뿐 100% 방어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축산업의 붕괴까지 거론하고 있다. 현재의 확산 속도에 한파까지 겹치면서 쉽게 수그러들 기세가 아니기 때문이다. 더구나 설날이 2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규모 귀향행렬에 따른 추가 확산을 배제할 수도 없다. 이는 축산농가와 방역당국이 가장 긴장하고 우려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