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산학연협력 엑스포에서 ‘올해의 발명’으로 선정
상태바
2010 산학연협력 엑스포에서 ‘올해의 발명’으로 선정
  • 취재_공동취재단
  • 승인 2011.01.07 16: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NA aptamer 기반 암표적제 개발로 국내 RNA 연구의 메카로 발돋음

생명연장의 꿈이 가시화 되면서 암 정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가 바로 ‘RNA'로서, 기존에는 유전자인 DNA가 단백질로 발현되어 생명현상을 나타낼 때 중간에 거쳐 가는 분자정도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RNA가 단순한 유전자 발현의 중간전달자일 뿐 아니라, 생명현상을 광범위하게 조절하는 다기능성 분자라는 증거가 보고되고 있어 학계가 떠들썩하다. 
얼마 전 개최된 ‘2010산학연협력 엑스포’에서 올해의 발명으로 선정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단국대학교 RNA 세포생물학 연구실’은 지난 2008년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선정한 국가지정연구실 (NRL, National Research Lab)로서,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RNA의 새로운 기능 및 응용방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오면서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RNA 연구의 새로운 메카로 발돋움 하고 있다.

국내·외 특허 출원·등록 등 다양한 성과 이뤄

국가지정연구실 연구책임자인 정선주 교수는 지난 95년 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최초의 전임교수로 부임하여 97년 대학원 신설과 함께 연구실을 설립하고, 학부생과 석사과정생을 중심으로 aptamer 발굴 기술의 확립과 다양한 RNA 연구 분야의 신기술을 학생들에게 전수해 왔다.

그 결과 RNA aptamer 기술을 포함한 암세포에서 RNA metabolism에 관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Cancer Research와 Nucleic Acids Research와 같은 우수 SCI 저널에 다수 발표하는가 하면, 국내 및 국제 특허를 출원·등록하며 국제적으로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주요 성과들을 살펴보면 2006년 BK21 RNA 전문인력양성 핵심사업팀 선정, 2007년 과학기술부 주관 국가연구과제 우수과제 100선, 학술진흥재단 우수성과 51선,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 (National Research Lab, NRL)로 "암세포 특이적 RNA 네트워크 발굴 및 제어기술” 과제 선정 등이 있다. 

최근 정선주 교수와 연구원들은 주로 암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RNA 및 단백질을 발굴하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해 이를 표적으로 한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기본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기존에 별로 연구되지 않은 분야로서, 신개념의 RNA 기반 암발생 기전 규명의 기초연구 외에도 이를 직접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응용연구로서 활용방법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

특히, 유방암이 진행됨에 따라 발현이 증가하는 대표적인 암 특이적 단백질인 ErbB2/Her2 단백질의 연구는 기존의 비특이적 항암제의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암세포에만 작동하는 표적형 항암제 개발의 주요 표적 분자로 매우 중요하다고 정선주 교수는 설명하면서 “기존 Herceptin이라는 항체가 오랜 기간에 걸쳐 개발되었고, 현재 유방암 환자의 진행 정도에 따라 항암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Her2 단백질이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정도를 쉽게 진단하는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항체와 유사한 표적 특이성을 가지면서 개발 기간이 짧고 환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비침윤성 분자영상 진단 분자의 개발이 시급한 것이 현실입니다”라며 연구의 당위성을 이야기했다.  덧붙여 정선주 교수는 “연구실의 목적은 RNA 연구뿐만 아니라 전문인력양성이라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최선의 길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최상의 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라며,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연구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 되도록 연구기반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국대학교 RNA 세포생물학 국가지정연구실 정선주 교수
단국대학교 RNA 전문인력양성 사업팀(BK21) & RNA 세포생물학 국가지정연구실(NRL, National Research Laboratory)/정선주 사업팀장 & 연구책임자     

·스탠포드대학교 의과대학 발생생물학과 포스트닥
·유타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과 이학박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이학사
·전)단국대학교 국제문화교류처 처장
·전)UCSD 방문연구원
·현)NRL-RNA 세포생물학 국가지정연구실 연구책임자
·현)BK21-RNA 전문인력 양성사업팀 사업팀장
·현)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및 나노센서바이오텍연구소 교수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