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대비 177.4% 증가, 2015년 이후 연속 흑자 달성

[시사매거진]우리나라 목욕용품 수출이 중국, 동남아 국가로의 수출에 힘입어 매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주요 목욕용품 수출액은 4억 3천만 달러로 2012년 1억 5천만 달러 대비 177.4% 증가하였으며, 지난해 수입액 3억 5천만 달러와 비교하면 수출액이 수입액의 1.2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주요 목욕용품 수출 품목의 비중은 샴푸(28.3%), 피부세정제(26.8%), 면도기·면도날(23.4%), 치약(13.6%), 칫솔(7.9%) 순으로, 샴푸 수출은 1억 2천만 달러로 ’12년 대비 296.4% 증가하였으며, 지난해 수입액 6천 2백만 달러와 비교하면 수출액이 수입액의 1.9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출 국가로는 중국(69.3%)·홍콩(11.4%)·대만(5.2%)·미국(2.5%)·베트남(1.5%) 순으로, 특히 중국 수출은 최근 5년간 65.5%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02년 이후 꾸준히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피부 세정제 수출은 1억 1천만 달러로 ’12년 대비 695.0%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출 국가로는 중국(35.4%)·대만(15.4%)·홍콩(12.5%)·태국(8.0%)·말레이시아(6.9%) 순으로, 중국, 대만, 홍콩으로의 수출은 최근 5년 각각 107.8%, 83.8%, 72.5%의 연평균 성장률로 5년 연속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2016년 주요 목욕용품 수입액은 3억 5천만 달러로 ‘12년 2억 3천만 달러에 비해 52.8%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입 품목비중은 면도기·면도날(25.6%), 칫솔(20.8%), 피부세정제(20.4%), 샴푸(17.9%), 치약(15.3%) 순으로 나타났다.
면도기·면도날 수입은 8천 9백만 달러로 ’12년 대비 68.1%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입 국가로는 독일(50.3%)·중국(18.5%)·폴란드(17.2%)·베트남(7.6%)·멕시코(2.8%) 순으로 집계되었다.
칫솔 수입은 7천 2백만 달러로 ’12년 대비 33.4%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입 국가로는 중국(32.6%)·미국(19.0%)·아일랜드(12.5%)·독일(11.0%)·베트남(7.8%) 순으로 집계되었다.
수출기업의 마케팅 효과와 더불어 최근 탈모예방·한방성분 샴푸, 다양한 향의 피부세정제 등 목욕용품에 대한 기능성, 성분 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국산 목욕용품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