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연평도 도발사건과 관련해 청와대의 발언이 오락가락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사건 발발 직후인 오후 3시50분에 나온 이명박 대통령 명의의 반응은 “확전되지 않도록 관리를 잘하라”였다. 이어 10분 후 전해진 발언은 “확전되지 않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였고, 4시30분에는 “단호히 대응하되,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로 다소 강화된 발언이 나왔다.
그 후 오후 6시5분에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의 공식브리핑에서 “대통령은 초지일관 ‘교전수칙에 따라 단호하게 대응하라’고 강조하셨다”며 “이전에 이 대통령 발언이라고 전해진 말들은 없던 얘기”라고 전면 부인했다.
24일 국회에서는 이에 대한 추궁이 줄을 이었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국방위 답변에서 “이 대통령으로부터 ‘단호하지만 확전되지 않도록 하라’는 최초의 지시가 있었다”고 밝히자, 이에 청와대는 다소 격앙된 반응을 나타냈다.
청와대 오후 브리핑에서 홍상표 수석은 김 국방장관의 답변을 전면 부인했던 것. 그 후 김 장관은 오후 국회 답변에서는 “대통령에게서 직접 들은 내용은 아니다”고 말을 바꿨다.
이렇듯 청와대의 대응이 다소 엇갈리고 있는 것은 천안함 사태 때 겪었던 학습효과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지난 3월 발생한 천안함 침몰사건 직후 이 대통령은 “사건에 대해 예단하지 말라”, “군의 초동대응은 잘됐다고 본다” 등의 발언으로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주로 이 대통령의 지지세력인 보수층으로부터 강력한 비난을 샀다.
이번 연평도 도발에서도 이 대통령의 “확전방지에 만전을 기하라”는 발언을 두고 보수진영이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적으로부터 공격 당한 상황에서 군 통수권자로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것이다.
이런 분위기 탓에 청와대는 이날 저녁부터 ‘단호한 대응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이 대통령은 23일 밤 합참본부를 방문해 “추가도발이 있을 경우 다시 도발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응징을 해야 한다”며 군의 적극적인 행동을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