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천연가스(CNG) 버스 중 1718대가 용기 안전에 부적합하였던 것으로 점검됐다.
또한 사고차량과 동일한 2005년 이전 대우 버스 1799대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실시 중이어서 부적합 판정을 받는 차량의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한나라당 박민식 의원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CNG버스 용기 지역별 검사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지난 8월 행당동 CNG 버스 용기 폭발 사고 이후 가스안전공사와 각 지자제등은 합동으로 전국 모든 24,356대의 CNG 버스에 대하여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
점검 결과 서울시는 총 버스 7,318대 중 1000대에 가까운 978대의 CNG버스 차량이 안전에 보완이 필요(13.4%)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국적으로 1718대의 차량이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7.1%) 또한 버스 보유 대수 대비 안전에 미흡했던 지역은 충남지역으로 336대 중 51대(15.2%)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가스안전공사는 1647대에 대한 보완을 완료하였고, 보완 예정인 나머지 71대 중 3대는 운행 정지 중이다.
하지만 보완 요구 차량의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고버스와 같은 종류인 2005년 이전의 대우버스의 경우 전 차량에 볼트 찍힘(불트에 의한 용기손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전체 3771대 중 이미 교체한 1799대를 제외한 나머지 1972대에 대하여 현재 용기를 탈부착 하는 방식의 정밀안전검진을 진행 중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박 의원은, “이번 사고는 지난 5년간 CNG버스와 관련하여 크고 작은 10건의 사고가 있었는데도 재검사 한 번 하지 않아 발생한 인재(人災)”라며, “이번 전수조사도 약 50일 동안 약 25000대에 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루에 500대 꼴로 이루어진 부실검사”라며 “신속한 재검사 제도 도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