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민들이 손쉽게 이용하는 지하철 물품보관함이 역별로 사용료가 천차만별이어서 시민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한나라당 김기현의원(울산 남구 을)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지하철 물품보관함 운영실태”에 따르면 지하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품보관함의 하루평균 사용료가 역에 따라 최대 약 5배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호선 영등포역 물품보관함 하루(24시간 기준)사용료가 2,500원인 것에 반해, 바로 인근의 5호선 여의도역은 10,000원(4배), 4호선 명동역의 경우 가장 비싼 12,000원(4.8배) 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품보관함의 하루(24시간기준)사용료를 비교한 결과 서울메트로 운영(1호선 ~ 4호선)구간은 12,000원, 서울도시철도(5호선 ~ 8호선)구간은 10,000원, 철도공사가 운영(1호선일부, 4호선 일부)구간은 2,500원으로서 운영기관에 따라 사용료가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용료가 가장 저렴한 한국철도공사 운영 물품보관함의 연 매출액이 8억원, 순이익은 3억 5천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매출액 규모를 공개하지 않은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구간은 최소 4배이상의 수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김기현 의원은 “서민의 발인 지하철을 이용함에 있어 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물품보관함이 특별한 사유 없이 제각각 사용료가 다른 것은 소비자를 우롱하는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서민들이 지하철 물품보관함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불합리한 사용료를 개선하고,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