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맞은 교육산업
상태바
글로벌 시대 맞은 교육산업
  • 글/ 편집국
  • 승인 2005.05.3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급성장한 공룡산업 교육시장의 현재와 미래
오늘날은 교육규모가 크게 확대되면서 교육산업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우리 나라 전체인구의 1/4이상이 학생이고, 또한,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교직원 등으로 교육계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 활동을 위한 예산이 중앙정부 예산의 20% 수준을 상회하고, 교육 활동에 투입되는 공?사교육비는 GNP의 10%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또한, 교육사업 때문에 생겨난 교육관련 산업도 전체 산업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루과이라운드 협상과 WTO 체제의 출범 이후 시장개방 차원에서 교육시장에 대한 개방 요구가 나오게 되면서 교육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관련해서도 교육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공?사교육을 상호보완적으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시장에 존재하는 교육산업에는 크게 학교교육, 학교외교육, 교육관련산업 등이 있다. 여기서 학교교육은 교육관련법상에 규정된 각급학교와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교육기관들이고, 학교외교육은 학원, 직업훈련기관, 사회교육기관 등이다. 그리고 교육관련산업은 교육 활동을 위해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생산, 유통, 공급하는 산업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나 교육관련산업은 너무나 다양하고 그 규모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학교교육에 해당하는 공교육과 학교외교육에 해당하는 사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시장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 나라 공교육은 해방 이후 급속한 속도로 성장하여 왔다. 국민들의 높은 교육열과 정부의 개방적인 교육정책의 추진으로 각급학교 취학생수가 급속히 증가되었다. 건국 이후, 각급학교 학생수의 증가와 함께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학교, 교원, 시설 등도 급속히 팽창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교육재정도 많은 증가를 가져왔다.

수준높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국가 경쟁력 향상의 밑거름
각급학교의 학생수 변화를 개관해 보면, 초등학교 학생수는 1960년대 말까지 계속 급증하다가 적령인구가 감소하면서 그후 계속 줄어들고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수는 각각 1970년대와 1980년대까지 증가하다가 1980년대와 1990년대 이후 계속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 등의 고등교육기관 학생수는 계속 증가해오고 있다. 2000년 현재, 공교육에 해당하는 각급학교에 1,200만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학생수의 증가에 따라, 학교수는 2만여개로 늘어났고, 교원수도 40여만명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각급학교 교육의 급속한 성장은 교육재정 소요를 증가시켜 교육예산이 정부예산의 20%를 훨씬 상회하게 되었다.
사교육의 유형은 개인 및 그룹에 의한 과외, 학원교육, 평생(사회)교육기관에 의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직업훈련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 가운데 평생(사회)교육은 문맹 퇴치 및 국민기초교육 강화, 지역사회개발, 사회계몽, 인력개발, 여가 선용 및 교양 증진, 시민의식 함양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그 프로그램이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연령별로 대표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전문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사교육 시장의 현제와미래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