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취약계층 안전 직접 챙긴다
상태바
광주시, 취약계층 안전 직접 챙긴다
  • 이지원 기자
  • 승인 2017.02.13 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 소방안전본부, 1만4000 가구에 주택용 소방시설 무상보급
▲ 광주광역시

[시사매거진]광주광역시가 장애인, 고령자, 한부모 가정 등 사회 취약계층의 안전 확보에 적극 나선다고 밝혔다.

경제난 심화로 당장의 생계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안전에 미처 신경을 쓸 겨를이 없는 이들을 시가 나서 돕겠다는 것이다.

시 소방안전본부는 먼저 주택에 사는 사회 취약계층에게 주택용 소방시설을 무상 보급하는 사업을 올해 대폭 확대해 추진한다.

주택용 소방시설은 주택에 화재가 났을 때 초기 대응과 피난을 돕는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다.

지난해의 경우 1억2000만원을 들여 3100여 가구에 소방시설 9513개를 보급했는데 올해는 시민참여 예산으로 5억원을 확보해 지난해 보급 가구수의 4.5배 가량인 1만4300여 가구에 4만3500여 개를 보급한다.

소방시설이 확대 보급되면 주택에 사는 시민들이 화재가 발생했을 때 감지기의 경보를 듣고 신속히 대피하거나 소화기를 활용해 화재를 진압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 소방안전본부는 소방서로부터 멀리 떨어진 농촌마을을 ‘화재없는 마을’로 지정해 주택용 소방시설을 무상 보급하고 유지·관리해 큰 호응을 받았다.

아파트 등 주택화재 시 삶의 터전을 잃은 저소득층 시민들의 생활 안정을 돕는 ‘화재피해주민지원센터’도 지난 2005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피해주민이 최소한의 생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저소득층 화재보험을 무료로 가입해 주고 보험 보상처리와 세금 납부기한 연장 등 행정적 지원을 하며, 소방공무원과 의용소방대원, 유관기관 등으로 구성된 피해복구지원반을 운영해 폐기물처리, 도배, 장판 교체, 안전점검 등을 하고 있다.

특히 긴급구호물품으로 쌀, 식기류, 침구류 등 생활필수품을 지원해 조속히 안정된 삶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화재로 인해 정신적인 피해를 입은 시민에게는 광주정신건강증진센터와 연계해 전문 심리 상담과 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긴급구호물품 37건을 지급하고 피해복구지원반은 608회 운영했으며, 2062세대에 주택화재보험 무료 가입을 지원한데 이어, 올해는 이 보다 1.65배 많은 3000여 만원을 들여 더 많은 지원을 펼칠 계획이다.

이외에도 유비쿼터스 안심콜 시스템을 통해 독거노인, 장애인 등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수혜자나 가족이 웹사이트에 신고자의 병력정보, 인적사항 등 정보를 등록하면 수혜자가 119 신고 시 미리 등록한 정보를 활용해서 구급대원이 맞춤형 구급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응급상황 시 119 신고와 동시에 등록된 주소가 파악돼 신속한 출동이 가능하며, 특수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관련된 장비를 사전에 준비하고 개인 병력정보를 통하여 구급대원이 맞춤형 응급처치를 할 수 있으며, 환자 가족에게 연락하는 등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마재윤 시 소방안전본부장은 “전 직원은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소수자와 약자를 배려하며 더불어 사는 광주공동체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사랑의 봉사활동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