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오후 7시, 종로2가 보신각 앞에서 민주당 등 야5당이 ‘시민대회’를 열고, 최근 故 노무현 前 대통령 차명계좌 발언과 천안함 유족 동물비유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킨 조현오 경찰청장의 퇴진과 구속수사를 촉구했다. 1시간 30분가량 진행된 이날 집회에는 촛불과 피켓을 든 약 1,000여명(경찰추산 400여명)의 시민들이 함께했다.

앞줄에는 야5당(민주당,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대표를 비롯해 이해찬, 한명숙 前 총리, 유시민 前 보건복지부 장관, 천호선 前 청와대 홍보수석, 민주당 백원우, 전현희, 김진애 의원 등이 앉아 끝까지 자리를 지켰다.
단상에 오른 박지원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차명계좌를 운운하는 것은 망자에 대한 모독이며 청문회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물타기에 불과하다”며 “국회 상임위에서 부적격 장관과 청장에 대해 반드시 추궁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민주노동당 이정희 대표는 “조현오 경찰청장은 고인과 유족을 짓밟고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을 사지로 내몰았으며, 촛불시민을 진압했던 사람이다”며 이번 발언에 대한 즉각적인 구속수사를 촉구했다.
이재정 국민참여당 대표는 “검찰은 한명숙 前 총리에 대해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수사하지 않았느냐”고 물은 뒤 “조 청장에 대해 즉각 구속 수사하고, 이 대통령은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시민 前 장관도 “조 청장은 형법뿐만 아니라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규정하고 있는 헌법을 위반한 사람”이라며 “지명철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명박 대통령 역시 헌법을 짓밟게 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지난달 30일, 이명박 대통령은 조 청장을 포함한 신임 장관 및 청장 내정자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상태다. 하지만 이에 앞선 지난달 18일 노무현재단은 조 청장을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소·고발했다.
검찰은 다음주 고소·고발인을 불러 조사를 시작한다는 방침이지만, 사건 접수 보름이 지난 상황에서도 수사에 착수하지 않은 데에는 ‘수사의지가 없다’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야당들은 지난 1일부터 시작된 9월 정기국회와 10월 국정감사까지 조 청장 퇴진운동을 전개할 예정이어서 당분간 파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이와 함께 4대강 사업 등 현 정부의 국정운영 전반에 대한 압박을 높일 것으로 보여, 당분간 ‘조 청장 퇴진 정국’은 계속될 전망이다.

ⓒ시사매거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