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최근 5년간 (2005년~2009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만성질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고혈압의 총 진료비는 2005년 1.4조원, 2006년 1.5조원, 2007년 1.9조원, 2008년 2.1조원, 2009년 2.3조원으로 매년 9.8%씩 꾸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이 부담한 고혈압의 건강보험 급여비도 크게 증가하여 2005년 1.0조원, 2006년 1.0조원, 2007년 1.3조원, 2008년 1.5조원, 2009년 1.6조원으로 매년 9.9%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혈압 환자의 총진료비를 진료형태별로 분석한 결과, 의료이용 행태별 진료비는 2009년도 기준으로 입원 1,106억원, 외래 5,592억원, 약국 16,390억원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약국 진료비의 경우 2005년 9,304억원에서 2009년 16,390억원으로 매년 9.2%씩 증가하였다.
고혈압 환자 1인당 연간 투약일수를 보면 2005년 176.4일에서 2009년 215.2일로 38.8일(연평균 5.5%)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혈압의 환자수는 2009년 기준으로 529만명으로 2005년 400만명에서 연평균 7.2%씩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연령별로는 환자수는 60대가 전 연령대의 28.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50대 26.3%, 70대 20.3%, 40대 14.5% 순으로 분석되었다. 20대에서 50대의 연령별 발생 비중은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70대와 80대의 비중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별 건강보험 환자의 1인당 진료비는 연령대가 높은 80대가 532천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70대 463천원, 60대 439천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인구 1만명 당 환자 수는 80세 이상이 4,790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70대가 4,761명, 60대가 3,822명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50대가 2,190명으로 50대 이후부터 환자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도별 인구 1만명당 환자수를 분석한 결과 2009년을 기준으로 강원도가 1,42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시가 804명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년간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울산시가 13.6%로 가장 높게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 제주도 13.2%, 인천시 9.9% 순으로 분석되었고, 연평균 증가율이 낮은 지역은 전북 2.7%, 전남 3.2%, 충남 4.3% 순으로 분석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심장내과 양주영 교수는 “고혈압은 나이가 들어가면 갈수록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하게 되면 혈관도 노화되어 동맥의 이완기능이 떨어져 경직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동맥경화증의 진행과 함께 노인들의 고혈압 발생빈도가 증가하게 된다.”며 “고혈압은 이와 같은 자연적인 연령증가에 따라 심혈관계 합병증과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과 같은 관상동맥질환 그리고 신부전증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합병증 또한 노인층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다.” 고 말한다.
이러한 고혈압에 의한 심장혈관계 합병증은 평소 별다른 증세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평소 고혈압에 대한 관리는 대단히 중요하며,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염분섭취를 조절하여 싱거울 정도(하루 6gm이하)의 균형 있는 식사, 야채식 그리고 저지방 식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인에게 알맞은 운동으로 적절한 체중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