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참가 및 테마체험 통해 문화격차 해소, 사회성 향상

안성초가 위치한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은 도시와 비교했을 때 결손가정이 많아 정서적으로 상대적 박탈감이 심한 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육과 정서 지원이 필요한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청소년을 위한 공공 문화시설이 부족해 삶의 질을 높이는데 제약이 많아 종합적인 농산어촌 연중 돌봄 지원 사업 체계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안성초는 지난해 학교 선진화 정책의 일환인 ‘농산어촌 연중 돌봄학교’에 선정되어 실질적인 교육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학생들의 환경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함으로서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교육환경의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상담과 진로교육 병행, 학생이 행복한 학교
현재 안성초에서는 학생과 교사, 학부모의 요구와 의견을 파악해 기초학력신장, 기본생활안전망, 사회·문화적 소양, 특기·적성, 심리·정서발달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다. 또한 기존 교직원 외에도 돌봄학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지역의 인적자원 활용과 함께 태권도, 풍물, 인라인, 바이올린 등의 다양한 전문 강사들이 안성초의 미래교육을 위해 온 힘을 쏟고 있다.

안성초에서 실시하는 돌봄 학기 프로그램 중 ‘실력 쑥쑥’ 교과 프로그램은 차근차근, 디딤돌, 일취월장, 심화반을 구성해 기초 및 교과 실력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으며, ‘희망 키움’ 특기적성 계발 프로그램으로 태권도, 도예, 바이올린, 종이접기, 요리, 영어회화, 워드자격증, 클레이아트, 인라인, 배드민턴 등 재능과 잠재력을 더욱 크게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엄마품 돌봄’ 보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정서적 안정 및 건전한 인성발달에 도움이 되고 있으며, 토요휴업일 및 방학 중 프로그램인 ‘체험 신장’,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평생 프로그램’ 운영으로 교육공동체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안성초는 이처럼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즐겁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오고 싶은 학교, 머물고 싶은 학교, 자긍심을 심어주는 농산어촌 학교’를 만든다는 목표에 한 걸음씩 다가서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