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세종시 수정안 6월 중 표결처리를 전격 합의한 가운데, 사실상 폐기수순을 밟고 있는 ‘세종시 수정안’의 후속조치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경제분야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되면 원안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수정안을 다시 수정한’ 새로운 대안을 내놓지 않을 것이라는 해석이 따른다.
현재 예상하는 대로 6월중 상임위에서 부결된다고 하더라도 세종시 건설공사는 오히려 활기를 띨 전망이다. 원안이나 수정안과 상관없이 도로를 비롯한 각종 토목공사, 시범단지 아파트사업 등은 꾸준히 추진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사업의 주요 골자라 할 수 있는 정부청사 공사는 총리실 건물을 제외하고 대부분 중단된 상태다.
정치권은 이와 관련하여 만만치 않을 후폭풍을 우려하는 눈치다.
한 여권관계자는 수정안 지지여론이 많았던 충남, 연기, 공주지역을 거론하며, “수정안 폐기로 기업, 대학, 과학벨트 등이 타 지역으로 이전하면 정치권에 큰 역풍이 불어 닥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세종시에서 공동주택용지를 분양받은 10개 건설사는 이번 세종시 수정안 처리문제와 관련한 향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분양받은 공동주택용지 가격과 이전 기업에 공급키로한 원형지 가격과의 차이 때문에 수정안 통과 여부에 따라 많은 부담을 떠 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사들은 적극적인 입장표명을 자제하는 가운데, 방향설정에 부심하고 있다. 세종시 사업의 불투명성 때문에 10개 건설사가 계약금과 1차 중도금만 납부한 채 분양대금의 납부를 연기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