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ST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단은 R&D혁신 로드맵인 미래가치 창출이 가능한 10대 과제로 선정돼 정부의 지원과 민간의 투자를 받아 1,529억 원의 연구비로 활발히 운영 중에 있다. 국내 해수 담수화 관련 연구자들은 대부분 참여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며, 관련 기업들도 대거 참여하고 있다. 이곳은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분을 포함한 용해물질을 제거하여 음용수 및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을 생산해 내는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등 미래 수자원 관리 물산업 시장의 선도국가 위상을 정립시키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수동형 물관리 기술에서 능동형 물확보 기술로
GIST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단은 능동형 수자원(물재이용, 해수담수화, 빗물저장/활용 등) 중 해수담수화를 통한 수자원 확보 및 기술검증을 위해 총 3단계로(총 5년 8개월, 1,600억 원 예산 규모) 구성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먼저 지난 2007년부터 2008년 초까지 실시된 1단계 사업은 기술동향 및 플랜트 구성설계 기술 연구로 ▲기술 개발 방향 정립 및 미래기술 기반 구축과제 도출 ▲기술동향 및 정보 분석 ▲미래 기반 기술 선정 ▲플랜트 구성 및 설계기술 기반 정립 등이 속하며,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된 2단계 사업은 핵심기반 기술 심화 및 Test bed 설계 완료를 목표로 핵심기반 기술 확보하고 테스트 베드 설계를 완료하였다. 끝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3단계 사업은 테스트베드 완공 및 플랜트 유지관리 기술 확보를 위해 시장 친화형 제도를 보완·개선해 나가는데 주력하고 있다.
한편 GIST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단은 더욱 빠른 기술개발과 실용화를 위해 지난 2009년 4월20일 부산시와 협약을 맺고, 이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부산시 기장군에 건설할 것을 결정했다. 오는 6월 착공식을 열 예정인 플랜트는 약 4만 5000t 규모(10만 명 이상이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세계 최대 규모로 단위트레인을 포함한 해수담수화 플랜트로서 국산 부품/소재들이 전체플랜트 핵심구성을 차지하는 최초의 플랜트가 될 것이라는 극찬 속에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GIST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단은 오는 2012년 부산시에 음용수 공급을 시작으로 같은 해 부산에서 개최되는 세계물 협회(IWA) 총회를 계기로 한국형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기술력을 세계에 과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래 물산업 국가경쟁력의 원동력 ‘Smart Water Grid’사업

Smart Water Grid란 다양한 수자원 활용 체계를 최적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생산/저장/수송/소비 네트워크로서 지난 2009년 9월 국제 Water Innovation Alliance에서 제시한 미래형 물산업이다. Water Innovation Alliance(미국) 등에서는 이미 Smart Water Grid Initiative를 통한 관심유도가 시작될 만큼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GIST 물연구팀은 Smart Water Grid 설계·적용·관리의 토탈엔지니어링 기술 확보를 통해 물산업 국가 경쟁력 강화 및 세계 수자원관리 물산업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일념 하에 각고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준하 교수는 “국내의 경우 아직 Water Grid 지능화 기술과 관련하여 적극적인 기술개발은 시도된 바 없다. 하지만 Smart Water Grid개발을 위한 각 요소 기술들에 대한 기술력이 우수하며, Smart Water Grid의 핵심 기술인 IT 기술 분야에서 세계 우위를 선점하고 있기 때문에 Water Grid 지능화 사업이 착수되면 이 분야 기술 우위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아울러 Water Grid 지능화 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국가가 필요로 하는 물산업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Water Grid 지능화라는 새로운 물산업 분야의 전문 기업과 인력을 양성해 국가경쟁력 확보의 기회가 되고 있다”고 정부의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녹색성장 및 신성장동력 창출 효과 기대돼
GIST 물연구팀이 제안하는 미래도시 물산업 Water Grid 지능화를 통해 기존의 수동형/능동형 수자원 확보 기술을 극대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및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최적의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게 될 경우, 단위 수자원 당 생산단가를 최대 20~3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곧 에너지 절감과 직결 돼 CO2 배출량을 감소시키는데 크게 공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Water Grid 지능화 사업을 통해 운영 및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신규 일자리 및 내수 창출에 일조함은 물론, 과제의 최종 목표인 테스트베드 건설을 통해 국내 Water Grid 산업의 기술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 수출 기회를 증가를 도모하여 물산업 강국으로 도약을 도모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 외에도 지능형 Water Grid 건설 할 경우 연간 약 200억 원의 이윤을 창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지능형 Water Grid 기술 선점을 통해 국제 물산업 시장에 진출해 물산업 선도 기업수준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초기시장 진출시 500억 원 이상의 매출 달성 가능)하고 있다.
지난 10여 년간 GIST 물연구팀은 국내의 최고의 물전문가로 구성되어 물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플랜트 기술 개발을 통해 넓게는 인류의 물 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좁게는 국내 일등 수출 상품 중의 하나를 생산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노력의 노력을 거듭해 왔다. 현재, 무한한 바닷물로 물 산유 국가를 꿈꾸는 이들의 노력이 있어 대한민국 미래는 밝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