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신소재 상품화 기술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중앙대학교 농식품신소재개발센터((New Agro-Foods Research Center, 이하 NARC/센터장 김종기 교수)는 경기지역의 신선 농·식품 신소재의 기능성을 발굴하고, 제품화를 통해 국민건강 증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추구하고 있다. 센터는 이를 위하여 ‘기능성 농·식품 부가가치의 창출’을 목표로 지정, 국가경쟁력 제고의 新혁신 산업화 기반을 구축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능성 소재 및 생명산업 클러스터 구축
산학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중추적 역할 담당

센터는 앞으로도 농·식품 신소재 산업화연구를 통하여 동·식물자원 및 식품소재의 고효율활성화는 물론, 국민 건강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정적 연구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산업체 파견 인턴 연구원제도를 도입하는 등 센터 내 경기도 전문 인력 및 고급인력 배출 전망이 밝아 당분간 센터의 연구 활동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점쳐진다.
몸에 좋은 만병통치약 ‘배무채’ 개발
센터가 상품화한 배무채가 연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2005년 5월 ‘신종 배무채 및 그 육종방법’이란 주제로 특허를 획득한 (주)바이오브리딩의 배무채는 배추와 무를 교잡하여 만든 세계최초의 완전한 신종 작물(속간잡종 식물)로서 배추의 ‘배’와 무의 ‘무’, 채소의 ‘채’자를 따 ‘배무채’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전체적으로 배추와 무를 합친 중간적인 맛에 고추냉이와 같은 매운맛과 단맛이 조화를 이루어 특이하게 ‘맛있다’라는 느낌을 갖게 하는 배무채는 생식용, 가공용, 주스첨가제 등 사용되는 용도도 다양하다. 생식용은 주로 쌈, 열무김치, 백김치, 샐러드, 샤브샤브 등에 사용되며 특히 생채 및 김치로서의 맛이 좋고 항암 및 살균작용이 큰 기능성이 있다.

한편 센터는 배무채 외에 고부가가치 버섯 가공제품 및 미곡의 기능성 신소재 및 가공식품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어 향후 농·식품 신소재의 활용성 및 사업화에 청신호를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