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전국 30%, 지하철역 설치 확대 등으로 62건 사용

[시사매거진]서울시가 자동심장충격기 설치와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에 힘써온 가운데, 이를 통한 응급조치로 위급한 시민의 생명을 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 심장정지 환자는 2011년 3,280명에서 2015년 기준 5,382명 등 증가 추세로 급성 심정정지의 초기대응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시는 지하철역 등에 설치한 자동심장충격기가 현재 총 8,189대로 전국의 약 30%(전국 26,565대)에 달하며, 지속적인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로 자동심장충격기가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 심장정지 목격 당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5년 기준 21.7%로 전국 평균(13.1%)보다 높은 수준이다. 심장정지 환자 응급처치는 119 도착 전까지 심폐소생술 시행과 자동심장충격기를 같이 사용해야 효과가 증대한다.
서울시는 지난 2012년부터 시민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자동심장충격기를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인 지하철역, 학교, 500세대 이상 주택 등에 설치해 현재까지 총 4,787대를 설치했다.
2013년부터 올해까지 서울시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건수는 62건으로 전국 134건의 46.3%이며 이중 30건은 올해 사용했다.
자동심장충격기 설치를 확대함과 동시에 시가 심폐소생술 교육을 강화하면서 위급한 시민의 생명을 구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심폐소생술 교육을 2014년 23만명에서 2015년에 71만명으로 대폭 확대, 선진국 수준(서울 인구의 7%)의 교육을 추진한 결과, 서울시 일반시민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21.7%로 전국(평균 13.1%)에서 가장 높다.
또한 강서구, 강북구, 관악구, 노원구, 도봉구, 성동구, 양천구, 중랑구에는 상설교육장이 있어 교육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교육은 ▲어린이·어르신은 기본교육으로 심폐소생술 인지도를 향상하는 홍보교육, ▲학생·민방위·일반시민은 실습을 포함한 일반교육, ▲법적 의무대상자는 전문교육 등으로 대상별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는 자동심장충격기를 이용한 62건 가운데 소중한 시민의 생명을 구한 16건의 사례를 파악하고 있다. 지하철의 경우 각 역에서 시민과 직원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으로 11명의 생명을 구했다. 4건은 중학교, 운동시설, 구내식당 등에서 사용됐다.
1건은 2015년 3월 강남구 청소년수련관 등산로 입구에서 심장정지 환자 신고를 받은 파출소에서 자동심장충격기를 바로 챙겨 출동해 생명을 구한 경우다.
서울시는 환자가 상태를 알리지 않는 등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있어 시민의 생명을 구한 사례가 더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올 10월 응암역 사례는 한 시민이 시민을 구하고도 조용히 자리를 벗어나 그 ‘의인’이 누군지는 알 수 없으나, 초기 대응을 잘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당시 지하철에서 갑자기 쓰러진 이모씨(76세)를 응암역에서 한 시민이 바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했고, 그 동안 역무원들이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져와 조치를 취해 119 구조대가 오는 6분 동안 응급조치가 이뤄져 생명을 살린 ‘기적’이 실현됐다.
이씨를 진료한 세브란스병원 조준호 박사는 “시민과 역무원들의 현장 처치가 없었다면, 이씨는 분명 사망했거나 중증 장애를 피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환자는 거의 정상적인 상태로 퇴원했다. 심장정지의 경우 초기 1분당 7~10%로 소생확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번 초기 대응은 매우 훌륭했다.”고 소견을 밝혔다.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응암역에서 심폐소생술을 하신 시민이 성함도 알려주지 않고 가신 것으로 알고 있다. 이렇게나마 감사의 뜻을 전한다.”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내 가족을 살릴 수 있다’는 마음으로 자동심장충격기 설치와 심폐소생술 교육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