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사춘기가 예전보다 빨리 나타나는 이유는 음식문화의 서구화, 환경호르몬, 과도한 스트레스를 들 수 있다. 특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과체중”이라는 서정한의원 박기원 원장의 지적처럼 최근 서울시내 6학년 여학생 중 93%, 남학생 91%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급속도로 늘어난 소아비만에서 성조숙증의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비만으로 인한 성조숙증의 경우, 성호르몬의 원료가 되는 체지방을 감소시켜 주게 되면 체지방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가슴멍울과 초경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해서 치료하게 되면 1년 이상 초경이 늦어지고 성장기간은 늘어나 최종적으로 키가 6∼8㎝ 커질 수 있다. 성조숙증 치료 동안에 가장 유념해야 할 것은 골다공증으로 인해 성장률이 떨어지게 되면 초경이 지연된다고 하더라도 키가 크기는커녕 줄어든다는 사실이다. 때문에 성조숙증을 치료하는 동안 성장률이 증가되지 않고 키가 잘 자라지 않는다면 치료는 중단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여학생의 경우에는 30㎏, 남학생은 45㎏ 정도가 되면 사춘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여학생의 경우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 가슴 멍울이 생기는 등 성징이 나타나거나 30㎏ 이상이 되면 검사를 통해 아이의 성장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풍부한 임상 경험과 최신 기자재로 무장
서정한의원의 가장 큰 강점은 누가 뭐래도 오랜 시간 한 분야에 집중해온 만큼 임상경험이 풍부하다는 것과 최신 기자재로 무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3년 전 내원했던 최모 군의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해 안타깝게 성장 시기를 놓친 경우다. 검사 당시 중학교 1학년이었던 최 군은 155㎝에 66㎏으로, 비만으로 인한 성조숙증으로 최종 키가 167㎝로 진단이 내려졌다. 하지만 최 군의 부모는 다른 곳에서 최종 키가 175㎝가 나왔다며 치료를 거부했다. 이후 3년이 지난 후에도 키가 크지 않자 최 군은 서정한의원을 다시 찾아왔지만, 이미 최 군은 168㎝, 84㎏의 고도비만으로 성장판이 닫혀 치료시기를 놓쳤을 뿐 아니라 지방간으로 인해 건강까지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다.

아시아 수출, 아시아청소년의 키를 키우는데 일조
94년 10월부터 성장클리닉을 전문적으로 진료를 시작한 박 원장은 현재까지 8만여 명 이상을 진료했다. 성장클리닉계의 전문가로 불리는 박 원장이 개발한 키 성장 프로그램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다.
베이징, 상하이, 심양, 연길, 장춘, 하얼빈 등 중국 36개 도시에 ‘박박사청소년 성장지도 센터(http://www. doctorpark.cn)’를 개설한 것은 물론, 산동중의학대학 부속병원에 ‘한중박박사청소년 성장연구소’가 개설되어 중국 학생들의 2차 성징 발생 시기, 성장률과 중국 대륙 간 성장치료 차이점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또한 일본 도쿄에도 두 곳의 성장클리닉 분원이 개설될 정도로 해외에서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인정받고 있으며, 베트남에서도 호치민과 하노이에 서정한의원의 키 성장 프로그램을 도입해 성장클리닉을 개설할 예정이다.
박 원장의 금년 목표는 동남아 진출이다.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인도 등을 타깃으로 해외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중국, 일본, 베트남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 수출해 아시아청소년의 키를 키우는데 일조하겠다는 포부다.
![]() 또한 기존에는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 공연으로 비보이와 발레를 접목시켜 관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면, 지난해부터는 <baby>를 통해 국악과 한국무용을 비보이에 접목시켜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baby>팀은 지난 1월9일 말레이시아 박람회에서 쇼케이스 공연을 펼친 바 있고 2월말에는 독일공영방송인 ARD에서 독일기자들이 직접 방문해 취재해가는 등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박 대표는 이들의 해외 진출도 적극 돕겠다는 각오다. “젊은 친구들이 해외에 나가 실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정작 한국 무대에는 설 자리가 마땅치 않다. 우리는 이 친구들을 더 이끌어 주고 앞으로 더 나아갈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줘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한국의 문화를 계속해서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는 그는 사명감을 가지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해외 시장 공연을 지속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를 흡수해 보다 새로운 작품으로 대중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작품을 선보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