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수정안 추진 여부를 국민투표에 부치자는 주장이 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계 일각에서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야당과 한나라당 친박(친박근혜)계는 물론이고 여권 주류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여전히 실현 가능성은 회의적이다.
친이계 이군현 신영수 의원은 9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6·2 지방선거와 국민투표 연계 실시를 공개적으로 주장했다. 이 의원은 “여야 간 대치, 여당 내 이견 등으로 (세종시가)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6월 지방선거에서 세종시 발전방안에 대한 찬반 국민투표를 함께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신 의원도 “국민의 의견을 물어서 세종시 문제를 종결짓는 게 국론 분열도 막고 미래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검토한 적이 없다”고 재확인했다. 김형오 국회의장도 기자들과 만나 “(국민투표는) 마치 대통령선거를 한 번 더 하자는 것”이라며 “안 된다”고 강력 주장했다.
세종시 국민투표 주장은 지난해 11월에도 친이계 중진인 공성진 최고위원이 제기한 적이 있다. 3개월 만에 다시 이 카드가 나온 것은 그동안 숱한 논란에도 당시와 하나도 달라진 것이 없는 당내 상황을 보여준다. 해법이 보이지 않는 세종시 문제의 돌파구를 열기 위해 다시 국민투표 문제를 거론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당내에선 국민투표를 실제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보다는 친박계와 야당에 대한 일종의 압박전술이라게 일각의 분석이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