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부내 점검회의 갖고 대미(對美) 통상 대응체계 대폭 강화키로

대응방안으로 민관합동으로 ‘대미(對美) 통상협의회(공동위원장: 산업부 장관, 무역협회 회장)’ 및 ‘대미(對美)통상 실무작업반(반장: 산업부 2차관)’을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대미(對美)통상협의회’는 현행 통상산업포럼 산하 대미(對美)통상 분과회의를 확대 개편해 산업부 장관, 무역협회 회장의 공동 주관 하에 주요 대미(對美)수출업종별 협회, 무역 지원기관, 주요 연구기관과 미국 통상전문가로 구성하며 향후 대미(對美) 통상 대책과 미래지향적 양국협력 방안을 찾고, 특히 미국 정부, 의회 및 업계와의 소통 망을 구축해 효과적인 대외지원(아웃리치) 전략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협의회 산하에는 산업부 2차관을 반장으로 하는 ‘대미통상 실무작업반’을 두어 경제단체와 무역지원·연구기관 및 관계 부처의 참여 하에 수입규제 등 대미(對美) 수출애로와 통상현안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업종별 영향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 기업의 대응 방향을 마련하는 한편, 미국 대선과정에서 제시된 인프라 투자, 제조업 육성, 에너지 개발 등 미국 새정부의 역점 분야에서의 협력기회 발굴은 물론, 사물인터넷(IoT), 바이오, 가상현실 등 다양한 신산업 분야에서 양국의 강점을 살린 투자·협력 방안을 찾아가기로 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주형환 장관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는 양국의 경제협력과 번영의 틀로 잘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미국에 적극 설명하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한·미 FTA는 협상 당시 조화로운 이익 균형을 이루었고, 교역·투자 분야에서 호혜적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지속적인 양국의 경제 발전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라고 강조하는 한편 “향후 미국 새정부의 통상 정책 동향을 기민하게 모니터링하고, 기존 대응 체계를 한층 강화해 민관 공동의 선제적 대응을 확대해 나가야한다.” 라고 말했다.
또한 산업부는 ‘산업부에 대미(對美)통상 특별팀(TF)'를 운영해 ’대미 통상협의회‘, ’실무작업반‘ 등의 민관대응체계 운영을 지원하고, 트럼프정부 출범이 우리 경제·통상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하는 등 객관적인 정보 수집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대미(對美) 통상협의회(장관 주재) 첫 번째 회의는 11. 23. (수), 실무작업반 회의는(2차관 주재)는 14일 (월) 열린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