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와 녹차 속 카페인 성분이 뇌암(뇌종양)세포를 억제 또는 둔화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최초로 밝혀져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일 암 분야 국제학술지로 알려진 캔서 리서치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과학센터 이창준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경상대와 서울대, 인하대 미국 Emory Univ 등과 함께 카페인이 뇌암세포의 움직임과 침투성을 둔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글이 게재됐다.
연구팀은 커피 2~5잔에 함유된 정도의 카페인을 물에 녹여 뇌암에 걸린 실험용 쥐에 먹였는데 그 결과 뇌암세포가 거의 전이되지 않았으며, 쥐의 생존률 역시 2배가량 증가했다. 이창준 선임연구원은 “암세포의 움직임이나 침투성을 향상시키는 칼슘 분비를 카페인이 억제했기 때문이다”면서 “실제 뇌암 환자의 뇌조직에서도 칼슘이 드나드는 통로가 활성화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선임연구원은 “카페인이 뇌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힘으로써 향후 뇌암에 대한 훌륭한 치료성 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활짝 열어둔 셈”이라며 향후 임상실험을 통해 효능을 검증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뇌암은 WHO 4등급의 악성 종양으로, 진단 후 평균 수명이 1년 이내인 치명적인 질병에 속하며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는 Temodar도 2.5개월의 평균수명을 연장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이번 연구 결과가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