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 국내 재직기간 평균 16개월
상태바
북한이탈주민 국내 재직기간 평균 16개월
  • 장지선 기자
  • 승인 2010.02.01 12: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일부의 용역연구 의뢰를 받은 한국 직업능력개발원은 작년 5월까지 국내 입국한 탈북자 중 만 15세 이상인 637명을 표본 추출해 지난해 10~11월 경제활동 실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에서 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한 직장 평균 재직기간이 한국 노동자 평균 4년 6개월에 한참 못미치는 16개월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1일 발표에서 남성 탈북자의 평균 재직기간은 20개월로 여성(14개월)보다 길었으며, 연령대가 높고 사회진출기간이 오래될수록 재직기간이 길게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또 탈북자 출신 국내 취업자의 평균 근무 시간은 주당 48.5시간, 평균 근로 소득은 127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평균 소득은 156만 원으로 여성의 108만 원 보다 약 44% 많았다.

아울러 조사대상자 중 절반이 조금 넘는 52.3%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의거한 생계비 수급 대상자라고 밝혔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탈북자들은 주로 일용직 형태로 이리저리 이동하면서 일하거나 동료와의 갈등 등으로 동일한 업체에서 1년 이상 근무를 지속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며 "탈북자의 자립과 자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직업훈련의 내실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작했다. 이어 "국내 적응기간 중 하나원이 담당하는 역할은 기초적응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직업훈련 등 취업관련 교육은 이후 단계로 넘겨 일자리와 연계된 교육 훈련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