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세계한국학 전주비엔날레’ 11월 1일부터 5일간 전주시 일원에서 펼쳐져

전주시와 전북대학교가 공동 주최하는 ‘제1회 세계 한국학 전주비엔날레’가 11월 1일부터 5일까지 전북대학교 등 전주시 일원에서 ‘전주, 세계 한국학을 품다’를 주제로 열린다.
이번 대회에는 이배용 前 한국학중앙연구원장과 도널드 베이커 브리티시 컬럼비하대학교 교수 등 한국학 분야의 국내·외 석학 100여 명이 참석해 범학문적 접근을 통한 한국학의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특히, 기조강연자로 나서는 이배용 前 원장과 도널드 베이커 교수는 각각 ‘한국 문화유산의 세계화’와 ‘세계화와 한국의 과거사의 미래: 한국 역사 서술의 과거,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세계 한국학의 소통과 확산’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의 포문을 열 계획이다.
먼저, 이번 행사의 첫날인 11월 1일에는 전주 르윈호텔에서 열리는 문화공연을 통해 주한 에콰도르 대사 등 각 나라를 대표하는 외교사절과 국내외 기자, 주요 내빈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을 맞이한다. 한국을 알리는 전통 음악 연주회에서는 대금, 장구, 소리가 어우러진 문화 축제가 펼쳐진다.
이어, 2일과 3일에는 전북대학교 진수당에서 국제 학술 포럼 및 좌담회가 진행된다. 이 자리에는 전 세계 20개국 한국학 연구자들이 참석해 △언어·문화, △역사·철학, △정치·경제, △글로벌 시대의 한국학 등 4개 분과로 세분화된 학문적 성과를 심도 있게 진단한다. 특별히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학문 후속 세대 양성과 한국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신진학자뿐만 아니라 대학원생들에게도 기회를 확대, 한국학의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인적 네트워크 형성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이번 비엔날레에서 참석자들은 전주전통문화연수원에서 사상견례와 향음주례, 향사례 등 대한민국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한국전통문화전당에서의 전통 공예품 및 약식 만들기 체험, 송광사와 금산사에서의 템플스테이 등 다양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각 나라에서 한국학 연구의 흐름을 주도하는 국외 연구자와 국내 한국학 연구 석학들이 한류의 세계화를 함께 도모하고, 한국학의 중심도시인 전주를 전 세계에 홍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앞서, 시와 전북대학교는 지난해 프레대회를 통해 ‘세계 한국학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한국학 연구 성과를 진단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의 필요성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제1회 세계 한국학 전주비엔날레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김승수 전주시장과 이남호 전북대 총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한 세계한국학전주비엔날레 조직위원회를 꾸리고 이번 대회를 준비해왔다. 세계 한국학 전주 비엔날레는 지난해 프레대회와 올해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매 2년마다 전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세계한국학전주비엔날레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전주를 한국학의 중심도시로 알림으로써, 전주의 역사와 문화적 자산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한국학의 국제적 확산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