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 잘버는 아내를 둔 덕에 살림살이가 편 미국 남편들이 최근 40년간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퓨리서치가 지난 2007년 실시된 '미국 공동체 설문조사'와 인구조사 결과를 분석해 19일 공개한 보고서 '여자, 남자, 그리고 결혼의 경제학'에서 남편이 가정의 경제력 기둥이자 최고 학력자라는 기존의 고정관념이 깨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1970년과 2007년을 기준으로 미국에서 태어난 30~44세 사이 부부의 수입, 학력 등을 비교한 결과, 1970년에는 남편보다 벌이가 좋은 아내가 4%에 불과했으나 2007년에서 22%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고서는 "과거에는 상대적으로 일하는 아내가 적어 결혼이 곧 여성들의 경제적 지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결혼과 더불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득이 여성 보다는 남성에게 커졌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8년 경기침체 이후 해고된 실업자 가운데 남성이 75%를 차지한 것을 예로 들면서 경제한파와 이에 따른 고실업률은 아내들의 집안경제 기둥 역할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여성의 학력도 지난 40년 가까운 세월동안 남편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970년 부부간 학력비교에서 남편이 아내보다 고학력인 경우가 28% 대 20%였으나, 2007년 조사결과에서는 남편 19% 대 아내 28%로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대학 졸업 학력을 지닌 남성이 같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여성을 만날 가능성은 1970년 39%에서 2007년에는 71%로 급상승했지만, 여성의 경우 같은 기간 70%에서 64%로 줄었다.
퓨리서치의 드베라 콘 연구원은 "점차 여성들은 자신들보다 수입이 적고, 학력이 적은 남성과 결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미혼남이 기혼남, 기혼녀, 미혼녀에 비해 돈을 모으기 힘들다는 사실도 이번 조사에서 드러났다. 2007년 기준으로 기혼남, 기혼녀, 미혼녀의 평균 가계수입은 1970년과 비교해 60%정도 상승했지만 미혼남의 경우 앞의 결과에 1/3도 못미치는 16% 상승하는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