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수출액 17.4% 감소, 수입액 14.5% 감소

수출대수는 52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9.4% 감소했고, 수입대수는 6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6.9% 감소를 보였다.
2016년 2분기 대비 승용차 수출액은 25.0% 감소, 수입액은 30.4% 감소했다. 수출대수는 24.9% 감소했고, 수입대수는 35.5% 감소했다.
국가별 수출은 수출액기준 미국, 사우디, 호주, 캐나다, 영국 순으로 미국으로의 수출은 ’15년 3분기 37억 달러에서 ’16년 3분기 28억 달러로 감소(△24.3%) 했고, 사우디(△42.0%)·호주(△8.4%)·캐나다(△20.9%)·영국(△13.4%) 등으로의 수출도 감소를 보였으며, 6위~10위 수출국인 독일(5.3%)·러시아(3.5%)·이탈리아(27.6%)· 이스라엘(23.7%)·페루(18.8%)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증가를 보였다.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국내 완성차 업계 파업의 장기화로 생산량 감소 및 세계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 등 경기적 요인으로 분석되며, 완성차 해외공장증설에 따른 현지 생산증가 등 구조적 요인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승용차 해외생산량은 ‘16.5월 이후 전년 동기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해, 승용차 수출이 감소한 것과 대조를 보였다.
국가별 수입은 수입액기준 독일, 미국, 영국, 일본, 남아공 순으로 독일은 일부 차종에서 증가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15년 3분기 15억 달러에서 ’16년 3분기 12억 달러로 감소(△19.5%)했고, 미국(18.1%)·영국(33.4%)·일본(9.3%) 등으로부터 수입은 증가를 보였다.
수입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16년 6월까지 연장된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및 일부 차종 판매중단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수출평균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으며, 수출 주력 품목인 중형(1,500∼2,000cc) 휘발유 차량이 4분기 연속 수출 단가 상승*세를 보이며 전체 승용차 수출단가 상승을 견인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