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50만 명 경제도시 육성”
상태바
세종시, “50만 명 경제도시 육성”
  • 신현희 차장
  • 승인 2010.01.11 13: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세종시 발전방안 발표 ‘7대 추진전략 제시’

 

정부가 세종시로 9부2처2청의 행정부처를 이전하는 원안을 백지화하고 기업과 대학 등 자족기능을 확대하는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정 총리는 11일 오전 정부중앙청사에서 “현행 세종시 계획은 국가적으로 감내하기 힘든 비효율과 낭비를 초래하므로 발전방안 마련이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세종시를 인구 50만명의 미래형 첨단 경제도시로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표안을 살펴보면 정부는 세종시를 도시성격이 강한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교육과학중심의 경제도시로 조성할 방침이다.

아울러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도시조성 완료시점을 2030년에서 2020년으로 10년 앞당기는 한편, 이에 맞춰 도로 등 도시내 주요 인프라도 2030년에서 2015년까지로 15년 단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세종시 발전을 위한 7대 추진전략으로 △시너지 창출형 토지이용 구상 △교육·과학·산업 등 5대 자족기능 유치 △투자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마련 △우수한 정주여건 조성 △빠르고 편리한 도시·광역교통체계 구축 △주민지원 대책 보강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균형 발전효과 확산 등을 제시했다.

이로써 자족용지는 25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마련될 수 있도록 486만㎡에서 1508만㎡로 확대되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인구 50만명은 유지하되, 일자리 25만개는 예정지역과 주변지역에 나누어 배치할 방침이다.

기업과 대학 등의 자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세종시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지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를 위해 인근 대덕, 오송·오창 등과 연계된 연구거점 330만㎡를 조성하고 2015년까지 3.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더욱이 347만㎡ 부지 공급을 통해 삼성·한화·웅진·롯데 등 고용 및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4~5개 선도 기업이 신재생·LED․탄소저감 분야 등에 투자할 방침이다.

고려대와 KAIST 등 국내외 우수 대학 4~5곳을 유치할 수 있는 350만㎡의 부지도 확보된다. 여기에 교육·과학 특화형 글로벌 투자단지 190만㎡를 할당해 외국기업․연구소·대학 등을 유치하고, 도시 중심지에 국제교류지구(30만㎡)를 배치할 예정이다.

투자유치를 위한 인센티브와 관련, 부지 50만㎡ 이상 수요자에게는 맞춤형 토지를 미개발 상태의 원형지 형태로 공급하고 50만㎡ 미만의 부지는 성·절토 및 지반안정화 공사, 도로·상하수도 등 인프라가 완비된 조성토지로 공급된다.

공급가격은 원형지의 경우 인근 산업단지 공급가격(78만원/3.3㎡)에서 개발 비용(38만원/3.3㎡)을 뺀 가격(36~40만원/3.3㎡)으로 하고, 조성토지는 인근 오송․오창․대덕 등의 산단 공급가격을 감안해 50~100만원/3.3㎡로 공급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이번주 내에 입주예정 기업·대학별로 투자계획을 발표하고 MOU도 이번주내로 체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한 1월 중순경 국토연구원․행정연구원․KDI 주관으로 발전방안에 대한 공청회를 실시하고 다각적으로 여론을 수렴한 후, 행정도시 특별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라 밝혔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