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이 일반복장과 온맵시복장 착용에 의한 피부온도변화와 온맥시복장 착용시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실험을 위해 일반복장은 런닝을, 온맵시복장은 내복을 선정하였으며, 성인 남성 4인과 마네킹 1대를 대상으로 일반복장과 온맵시복장 착용시의 평균 피부온도 및 의복내 습도 등의 측정실험을 실시했다.
내복 착용의 효과를 피부온도로 분석한 결과, 일반복장에 비해 평균 피부온도가 겨울철 평균 실내온도인 22℃에서는 0.7℃(0.5~1.0℃), 실내 권장온도는 19℃에서는 0.6℃(0.4~0.8℃)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에서 일반복장 착용시와 19.6℃에서 온맵시복장 착용시의 피부온도가 같은 것으로 나타나 내복의 착용만으로 난방온도를 2.4℃ 높이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는 셈이다.
내복 착용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산정한 결과, 난방온도를 1℃ 낮추면 7%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난방온도를 2.4℃ 낮추면 공공·상업부문에서 연간 115만TOE의 에너지 절감과 함께 344만톤의 온실가스배출량 저감이 가능하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은 앞으로도 국민들이 지구온난화 방지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일상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녹색생활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