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 수출액은 8천 4백만 불로 전년대비 15.4% 증가해 사상 최고치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최근 3년 동안 수출액은 16.9% 증가(‘13년: 7,225만 불→’15년: 8,446만 불)해,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수출이 5.9% 감소(‘13년: 5,596억 불 → ’15년: 5,268억 불)한 것에 비하면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2016년 1월~7월 맥주 수출액은 4,801만 불로 전년 동기(4,630만 불) 대비 3.7% 증가해, 이러한 추세는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
맥주 수출 중량은 ‘15년 1억 731만 리터로 최근 3년 동안 14.4% 증가(’13년 9,377만 리터)했고, 고급맥주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맥주 평균 수출 가격은 점차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간 맥주 수출현황을 보면 과거에는 여름철을 앞두고 수출 실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계절성을 보였으나, 최근 들어 한국산 맥주의 선호도 증가로 특정 계절을 벗어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5년 주요 맥주 수출국은 홍콩(41.6%)·중국(22.9%)·이라크(8.6%)·싱가포르(8.0%)·미국(4.4%) 순으로, 홍콩은 2000년 이후 맥주 수출 1위국을 유지하고 있다.
홍콩으로의 2015년 맥주 수출액은 3천 5백만 불로 전년 대비 8.2% 증가했으며, 제조자 개발방식 등의 형태인 한국산 고급 라거 맥주의 인기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중국으로의 맥주 수출은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14년 이후 싱가포르를 제치고 ’15년 전체 맥주 수출의 22.9% 비중을 차지하며, 맥주 수출 2위국으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베트남(‘13년 26위→’15년 12위)은 최근 3년간 38배의 맥주 수출액 성장을 보이며 신흥국 맥주 수출 성장에 두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각 국의 소비자 기호에 맞춘 국내 기업의 현지화 성공은 ‘치맥(치킨 맥주)’ 등의 한류 열풍과 함께 당분간 맥주 수출 증가세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