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7월부터 ’09.6월까지 분기별로 72개 정수장의 취수원수 총 507개 시료에 대해 바이러스 분포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이중 28.0%인 142개 시료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전체 507개 시료의 평균 농도는 100리터당 6.5개체로 나타났다.
이는, 1차 분포실태 조사(‘02.9~‘06.3)결과 100리터당 13.2 개체보다 6.7 개체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1차 분포실태 조사(‘02.9∼’06.3) : 765개 시료 중 34.1%인 261개 시료에서 바이러스 검출, 전체 시료 평균 농도 13.2개체/100리터)
계절별 평균 검출농도를 보면, 계절별 평균 검출농도는 100리터당 봄 11.9, 여름 3.0, 가을 1.3, 겨울 9.9 개체로 봄과 겨울에 높고 가을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는 수온이 낮을수록 생존기간이 길어지는 특징이 있음)
한편, 취수원수에서 100리터당 100개체를 초과한 5개 정수장의 정수된 수돗물에서는 바이러스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앞으로,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이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중대형 정수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소규모 정수장(시설용량 5천톤/일 미만)까지 병원성 미생물의 분포실태 조사를 의무화하기 위하여 수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마련하여 ’09.9.30 국회에 제출했다.
환경부 소개: 환경부는 각종 환경오염으로부터 우리 국토를 보전하여 국민들이 보다 쾌적한 자연, 맑은물, 깨끗한 공기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나아가 지구환경보전에 기여하여 하나뿐인 지구를 보전하는 것을 그 임무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