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영덕 도천리 도천숲'과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등 3건을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
영덕 도천리 도천숲은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도천리에 있는 마을숲으로 앞산의 뱀머리 형상이 마을을 위협하므로 이를 막기 위해 숲을 만들었다는 유래가 있다.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동제를 지냈고 마을을 떠날 때는 이 곳에 인사를드리는 등 자연과 함께 한 우리 조상의 의식이 담긴 숲이라는 면에서 문화·민속적 가치를 평가받았다.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는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에 있고 수령이 500년으로 추정된다.
조선 중종때 조광조를 구명(救命)하던 성균관 유생 11명이 낙향하여 금사정(錦社亭)을 짓고 이 나무를 심었는데 후일을 기약하며 금강11인계를 조직하고 변치 않는 절개를 상징하는 동백나무를 심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동백나무는 높이 6m, 뿌리 부근 둘레 2.4m로 현재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굵고 크며, 모양새도 반구형으로 아름답고 수세도 좋아 동백나무를 대표하는 가치가 있다고 문화재청은 판단했다.

임진왜란 때 충무공과 함께 싸운 공으로 선무원종일등공신이 된 오득린 장군이 마을에 정착하면서 심었다고 전해진다.
호랑가시나무는 호랑이가 등을 긁을 때 이 나무의 잎 가시에 문질렀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남해안에 주로 자란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우리나라 전통과 역사가 깃든 마을숲과 전통나무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지정·보존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