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한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 및 의심 증상 시 즉시 의사의 진료 당부

수족구병 의사환자수(유사증상환자)는 2016년 24주 36.3명(외래환자 1,000명당), 25주(6월12일~18일) 43.4명, 26주(6월19일~25일) 49.4명(잠정치)으로 지속 증가했고, 특히, 0-6세 발생(58.2명)이 높다고 설명하면서 유행은 6월 정점 후 8월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따라서, 질병관리본부는 개인위생 실천이 어려운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니 만큼 가정과 어린이집 등에서 아이 돌보기 전·후 손씻기 생활화 및 주위 환경을 청결히 하고, 손, 발, 입안에 붉은 반점 또는 물집이 생기거나 열이 나는 등 수족구병 의심증상이 있으면 즉시 가까운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며, 치료기간 동안에는 확산 방지를 위해 가급적 어린이집, 유치원 등 등원을 중지하고 자가 격리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수족구병의 대부분은 증상 발생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질병이나 일부에서 뇌염, 무균성 뇌수막염 등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의료기관에서는 환자 진료 시 합병증 증상 여부를 세심히 관찰해 줄 것과 환자 및 보호자 교육을 당부했고, 가정 등에서는 수족구병 환자가 신경계 합병증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조기 전문 치료가 중요하므로, 즉시 종합병원에 방문해 신속한 치료를 받을 것을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