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의 ‘미니 총선’이라 일컬어진 10.28 재·보선에서 민주당이 3대 2로 승리를 거뒀다.
민주당은 경기도 안산 상록을, 수원 장안, 충청북도 4군(증평·진천·음성·괴산) 등 3곳에서 승리했고, 한나라당은 경남 양산, 강원도 강릉 등 2곳의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전체적으로 3대 2라는 썩 나쁘지 않은 성적표지만 당초 한나라당이 점하고 있던 수도권 2곳을 모두 민주당에게 내 준 데다가 직전 당 대표를 내보낸 텃밭 경남 양산에서조차 고전을 면치 못했으니 패배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 | ||
▲ 28일 오후 경기도 수원 국회의원 수원 장안 재선거 민주당 이찬열 후보 사무실에서 손학규 전 대표와 당선된 이 후보가 기뻐하고 있다. 사진=연합 |
재보선 결과는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들의 ‘경고’로 풀이된다. 무엇보다 국정지지도가 40%를 웃도는 시점에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 흥미롭다.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김대중 대통령의 국장을 기점으로 50%대 까지 넘나들었다. 이를 두고 여권에서는 "중도 실용과 친서민 행보가 국민들에게 지지를 받는 것"이라며 자신에 차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실질적인 서민정책이 아닌 보여주기식으로 쌓아온 지지율의 거품을 여실히 보여줬다. 살기 어려워 정부가 '잘해주길' 기대했을 뿐이지, '잘해서' 지지한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이 같은 결과는 중도실용론에도 불구하고 최근 김제동씨의 TV 프로그램 강제하차 논란, 일방적 세종시 수정 움직임, 잇단 청와대 인사들의 추문 등이 '민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세종시 수정론, 4대강 사업, 노동관계법 개정 등 대표적인 'MB 의제'들의 미래도 불투명해졌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가늠해볼 수 있는 첫 무대 였던 만큼 여권은 '정몽준 체제' 진퇴 논란 등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재·보선의 승리로 모종의 ‘기회’를 잡게 된 것이 분명하나, 내부적으론 차기 경쟁구도 정립이 본격화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물론 당장은 선거를 이끈 정세균 대표 체제로 접어들게 되겠지만, 수원 장안 선거에서 정치적 승부수를 던진 손학규 전 대표의 중앙정치 복귀가 가시화 될 것이다.
또한 민주당에 유리한 결과를 안겨주며 정치적으로 복권된 친노 세력과의 통합 문제도 핵심 이슈로 떠오르게 됐다. 향후 선거전의 최대 장애물로 확인된 민주노동당·진보신당과의 분열 극복도 풀어야 할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