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모든 의료기관이 신종인플루엔자가 의심되는 환자에게 확진검사 없이 항바이러스제를 처방하고 모든 약국에서 조제·판매할 수 있도록 했다.
보건복지가족부 28일에 제2차 ‘민관합동 신종플루 대책위원회’를 개최해 신종플루 환자 급증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발열, 기침, 목아픔, 코막힘·콧물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근처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도록 당부하고, 반드시 거점병원에 가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또 현재 전국 1662곳 거점약국에서만 조제 받을 수 있었던 타미플루, 릴렌자 등 항바이러스제도 내일(30일)부터 전국 모든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정부는 어제(28일) 담화문을 통해 신종플루 의심환자는 확진검사 없이 바로 타미플루나 릴렌자를 처방하도록 하고, 환자를 거점병원으로 돌려보내지 말도록 당부했다.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일부 의료기관에서 확진검사 없이 치료제를 처방하는 경우 과잉진료 등의 이유로 건강보험 심사상 불이익을 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낸 것과 관련해,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중환자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신종플루 환자를 위한 전용 중환자실을 확보하는 방안을 향후 병원장 간담회 등을 통해 추진하기로 했다.
대책위원회에서는 이 밖에 의사협회가 신종플루 의심환자에 대해서는 의약분업을 예외로 하자고 제안했으나 현재 체계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복지부는 이에 대해 현재는 모든 약국에서 항바이러스제를 공급토록 개선해 접근성 면에서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고 투약 과정에서 부작용 등 복약 지도가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날 이주호 차관 주재로 신종플루 관련 전문가, 학교장, 학부모 등 학교관계자와 함께 휴업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교과부는 이날 저녁에는 전국 16개 시·도 부교육감 회의를 개최해 시·도 및 학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한다.
정부는 이 같이 교육부 차원에서 논의된 의견을 보건복지가족부 및 질병관리본부와 협의를 거쳐 최종 정부입장을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