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국가인권위원회는 비상임 인권위원으로 장애순(63세?張愛順) 대한불교조계종 원교사 계환(戒環) 주지스님이 임명했다.
신임 장애순 인권위원은 「국가인권위원회법」제5조에 따라 대통령이 지명하여 임명했고, 2016년 6월 16일부터 시작해 3년의 임기로 활동하게 된다. 금번 인권위원 임명은 인권위원 중 특정 성(性)이 위원의 10분의 6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개정된 「국가인권위원회법」시행(2016년 2월 3일)에 따라 여성 인권위원이 임명되었으며, 이에 11명의 인권위원 중 남성은 6명, 여성은 5명이다.
장 위원은 △ 한국불교학회 편집위원장(2003~2005), △ 동국대 불교대학 학장 및 대학원장(2010~2013), △ 불교신문사 논설위원(2011~2015),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장(2013~2015), △ 전국비구니회 운영위원장(2013~2015) 등을 역임하였고, 1995년부터 동국대 불교대학 교수, 1999년부터는 조계종 원교사 주지스님으로 재직 중이다.
장 위원은 여성 종교인으로서 불교방송 ‘자비의 전화’ 진행하고, 사회복지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여성을 포함한 소수자들의 인권향상을 위해 힘써 왔다.
신임 장애순 인권위원은 「국가인권위원회법」제5조에 따라 대통령이 지명하여 임명했고, 2016년 6월 16일부터 시작해 3년의 임기로 활동하게 된다. 금번 인권위원 임명은 인권위원 중 특정 성(性)이 위원의 10분의 6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개정된 「국가인권위원회법」시행(2016년 2월 3일)에 따라 여성 인권위원이 임명되었으며, 이에 11명의 인권위원 중 남성은 6명, 여성은 5명이다.
장 위원은 △ 한국불교학회 편집위원장(2003~2005), △ 동국대 불교대학 학장 및 대학원장(2010~2013), △ 불교신문사 논설위원(2011~2015),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장(2013~2015), △ 전국비구니회 운영위원장(2013~2015) 등을 역임하였고, 1995년부터 동국대 불교대학 교수, 1999년부터는 조계종 원교사 주지스님으로 재직 중이다.
장 위원은 여성 종교인으로서 불교방송 ‘자비의 전화’ 진행하고, 사회복지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여성을 포함한 소수자들의 인권향상을 위해 힘써 왔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