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 새누리당이 12년만에 집단지도체제를 폐지하기로 했다. 지난 2004년 전신인 한나라당의 탄핵 역풍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도입한 집단지도체제가 지금까지 이어져온 것이다. 새누리당은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하는 단일지도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다.
권성동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14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직후 브리핑을 통해 "집단 지도체제 하에서 합의적 운영의 한계점을 노출됐고 당 혼선과 마비를 불러온 게 사실"이라며 "그래서 당 대표에게 새로운 리더십을 부여하는 게 효율적 당 운영을 위해 좋지 않겠냐 해서 이번에 개편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밝히며 "대표최고위원 명칭은 당 대표로 변경한다"며 "최고위원과 최고위 회의는 현행대로 유지한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권 사무총장은 "당대표가 법적, 대외적으로 당대표를 할 뿐이었지 당무를 총괄하지 못했다"며 "앞으로 당무를 총괄한다는 규정을 집어넣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당 지도부 선출방식은 오는 8월 9일 열리는 전당대회에서부터 적용되며, 당 대표는 1인1표제 투표로 선출하고, 총 4명을 뽑는 선출직 최고위원은 1인2표제 방식으로 선출한다. 단 4위 득표자 안에 여성이 없을 경우 여성 중 최다득표자를 최고위원으로 자동 선발키로 했다.
또 만45세 이하 청년 최고위원 투표제를 신설해 별도의 투표를 하기로 했다. 청년 최고위원제를 신설함에따라 당 대표가 지명해왔던 지명직 최고위원은 2명에서 1명으로 줄게 됐다.
권 총장은 "당대표 1명, 선출직 최고위원 4명, 청년 최고위원 1명, 원내대표 1명, 정책위의장 2명, 지명직 최고위원 1명 등 최고위원은 9명으로 현행 인원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또다른 쟁점사항이던 당권·대권 문제에 대해서는 현행대로 분리하기로 했다. 이로써 잠룡으로 분류 돼 왔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의 당 대표 출마 가능성은 사실상 희박해졌다는 평가다.
당헌 93조에 따르면 대선 후보 경선에 출마하려는 사람은 상임고문을 제외한 모든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대통령선거일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2005년 홍준표 혁신위원회 체제에서 당 대표가 대선 후보 경선을 공정하게 관리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된 바 있다.
전당대회 룰은 현행대로 당원 70%, 여론조사 30%를 유지하기로 했다. 이로써 올림픽기간 중에 열리는 전당대회로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는 줄고, 친박계의 조직력은 더욱 힘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 | ||
▲ 인사하는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와 최경환 의원.(사진=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