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의 고위 당국자에서 나온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명박 대통령 평양 초청설로 정치권에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당국자는 14일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의 한국, 일본 슬로바키아 순방계획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최근 북한과 관계가 유화 국면에 들어섰다는 것을 설명하면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명박 대통령을 평양에 초청했다"고 말했다.
이는 남북 정상회담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지난 정상회담에서 남북관계의 진전이 이뤄지면 남북 정상회담도 가능하지 않겠냐는 이야기를 나눴다"면서 "이를 미 행정부 측에 전달했는데, 미국 내부에서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도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 민족의 장래를 위해서라면 언제든 김정일 위원장을 만날 수 있다는 입장을 강조해 왔지만, 만남을 위한 만남은 안된다"며 "정치적, 전술적 고려를 깔고 진정성 없이 만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부인했다.
그러나 민주당 박지원 정책위의장은 이명박 정부에 북한이 제의한 남북정상회담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당장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1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이명박 대통령을 초청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고 미국에서 나온 것을 우리 정부는 부인하고 있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때 온 북한의 특사 조문단도 이명박 대통령의 북한 초청 문제를 물어왔다"면서 "저 역시 남북정상회담이 꼭 필요하니까 청와대에 방문해 초청 의사를 밝히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정부는 인도적 차원에서 당장 쌀과 비료를 지원해야 한다"면서 "김 위원장의 이명박 대통령 초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빠른 시일 내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북핵 문제 등을 해결하는 게 이명박 대통령이 할 일"이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