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의 동아시아 중심 시대를 이끌어갈 고급 전문 인력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런 국제화의 흐름 속에 성균관대학교는 준비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난 2005년 국내 최초로 현대 중국을 전문으로 연구, 교육하는 중국대학원(츠훼셩 원장)을 설립했다. 현재 중국대학원은 중국경제관리학과(이호재 학과장)를 개설해 북경대학 광화경영대학원(MBA과정), 복단대학 경제대학원(중국경제관리과정) 등 중국 최고 명문학부와 손잡고 명실상부 중국경제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이론·현장교육으로 최고의 중국 경제전문가 양성 커리큘럼 개발

한편, 중국대학원은 협력대학과 각각 2007년(복단대학)과 2008년(북경대학)부터 복수학위를 시행하고 있어 이미 지난 8월에 3명의 학생이 중국대학원 중국학석사(중국경제관리)와 복단대학교 경제학석사(중국경제관리)의 복수학위를 수여받았으며 내년 2월에는 6명의 학생이 복수학위를 수여받을 예정이다.
한중 경제관련 최고권위자 담론의 장 한중국제경제포럼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은 삼성경제연구소와 함께 격년으로 한중국제경제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2006년 제1회 한중국제경제포럼에는 이윤우 삼성전자 부회장, 린이푸 세계은행 부총재, 웨이신 방정그룹 회장이, 2008년 제2회 한중국제경제포럼에는 꾸춘팡 상무부 국장, 짜오쭝야오 TCL 부회장 등 양국의 정계, 관계, 학계의 최고권위자가 참가하여 미래 한중 경제협력에 대한 담론의 장이 되었다. 현재 중국대학원은 중국 정부의 정책자문기관인 북경대학 전략연구소 및 삼성경제연구소와 함께 2010년 제3회 한중국제경제포럼을 준비하고 있다. 한중국제경제포럼을 통해 중국대학원의 미래 한중관계 국가적 경제정책 자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한국 최고 중국경제전문가 양성 교육기관 목표
중국경제관리학과의 강의는 한국과 중국에서 반반씩 이루어진다. 1년은 성균관대에서, 1년은 협력대학인 북경대학과 복단대학에서 현지 학생들과 선의의 경쟁을 펼친다. 이러한 교육시스템은 중국 현지에서 인적네트워크 구축에도 상당한 이점을 가져다준다. 중국 협력대학에서 공부하며 쌓은 중국 명문대학 동창들과의 네트워크는 사회 진출 이후에도 도움을 준다. 현재 졸업생 대부분은 전자·전기, 자동차, 물류, 금융기업, 정부·연구기관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중국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글로벌 동문 네트워크를 통해 중국관련 정보를 교류하는 등 저마다 관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호재 학과장은 “중국대학원 중국경제관리학과가 자타가 공인하는 한국최고의 중국경제전문가 10만 양성이라는 설립 목표를 달성하고, 나아가 중국경제관련 정책대안을 제시하며, 담론을 주도하는 국제적인 정책자문기관으로 위상을 높이는데 힘을 보탤 수 있길 바란다”고 목표를 밝혔다. 중국대학원 중국경제관리학과 학생들이 중국전문가로서 양국, 나아가 동아시아 번영에 큰 역할을 기대해 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