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조례개정도 추진. 지역 로컬푸드와 연계해 생산도 확대키로

[시사매거진]경기도가 도 생산 농산물의 판매확대를 위해 공공기관 급식에 관내 농산물을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5개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423개 공공기관에 경기도산 농축산물을 우선 공급하기로 했다.
도는 지난 4월부터 경기도청 구내식당과 경기도 어린이집 2곳에 관내 농산물을 우선 공급하고 있으며, 하반기에 이를 5개 공공기관으로 늘릴 방침이다.
경기도 농식품유통과 관계자는 “경기도에는 약 3만 개의 행정기관과 공공의료기관이 있으며 이중 종사자가 100인 이상인 공공기관만 추려도 423개 기관에 13만 명이 근무하고 있다.”면서 “100인 이상 공공기관에만 납품해도 연간 800억 원 정도의 식재료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사업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도는 경기도 산하 행정기관과 소방서, 출자출연기관 중 100인 이상의 기관에 공급해도 연간 50억 원 이상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공공급식에 경기도산 농산물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농가와의 계약재배를 확대하고 경기도산 농산물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관련 조례를 개정하기로 했다.
현행 경기도 로컬푸드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15조는 공공기관 급식 농산물로 경기도 농산물을 우선 사용토록 하고 있지만 강제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서다. 도는 공공기관이 관내 농산물을 우선 구매하지 않을 경우 도지사에게 그 이유를 보고하는 조항을 조례에 추가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도는 시군별 로컬푸드와 연계해 농가를 조직화 하는 등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추진하기로 했다.
최원용 경기도 농정해양국장은 “이번 공공기관 납품 추진계획은 도가 발표한 넥스트 농정비전에 따른 것”이라며 “공공기관 뿐 아니라 경기도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계속해서 찾아내겠다.”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최근 경기도 농가소득을 2020년까지 5천만 원으로 끌어올려, 도를 농가소득 전국 1위로 만들겠다는 내용을 담은 넥스트 경기농정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도는 넥스트 경기농정 비전 실천 방안으로 모든 농산물을 다 팔아 준다는 다팜(Farm) 플랫폼을 구축, 농산물 판로를 확대하겠다고 제시했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