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에게는 눈에 보여지는 것들이 중요했고 돈이라는 것 또한 그래왔다. 이 작품 블랙코메디는 백만장자에게 자신의 진짜 모습을 보일 자신이 없어 이웃집에서 고가의 물건들을 훔쳐 방을 꾸며놓는 주인공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그의 이웃들 또한 백만장자의 방문 소식을 듣고 근거없는 찬양을 하게 되는데 이는 인간에게 부자의 삶이 얼마나 무조건적인 동경의 대상이 되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자신들이 생각하는 대로 지껄이고 행동하다가 불이 켜지며 진실을 보게 될 때, 무서울정도로 돌변하는 인물들의 모습은 예나 지금이나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이기적인 동물인지를 다시 한 번 느끼게 해준다.
대학시절 공연했던 피터셰퍼의 블랙코메디는 단순히 밝은 조명 아래 어두운 정전 상황을 연기하는 코메디라는 기억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이번 작업을 위해 영어 원본과 논문을 참고하며 분석한 블랙코메디는 대학시절의 기억과 많이 달랐다. 그리고 기존에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 현재 번역본 또한 영어 원대본과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래서 쉽지 않았지만 원본에 가장 충실하려 노력했고, 밝음 속에서 어두운척하며 연기하는 상황으로서 웃음을 주려는 목적보다 원작이 가진 모순된 상황 속에서 모순된 인물들의 모순된 언어들을 최대한 살리는데 작업 목표를 두고자 노력했다.
□ 시놉시스
<어둠 속에서 벌어지는 좌충우돌 코믹 풍자극!>
젊고 가난한 조각가 브린즈리와 캐롤은 6주 전에 만나 서로 결혼을 약속한 사이다. 오늘밤은 두 사람에게 있어 아주 중요한 날이다. 백만장자이자 미술 수집가인 뱀버거씨가 브린즈리의 작품을 보기 위해 방문하기로 했고, 캐롤 아버지 멜케트 대령도 그가 자신의 사위 될 자격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들르기로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브린즈리와 캐롤은 이웃집에 사는 고미술상 헤롤드 가린지의 값비싼 물건들을 몰래 자신의 집에 진열해 놓기에 이른다. 백만장자와 장인 될 사람에게 잘 보이고 싶어서다. 이제 모든 준비가 완벽게 끝났다고 생각한 순간, 브린즈리의 아파트는 정전이 되고 만다. 이토록 중요한 순간에 정전이 되어 칠흑같은 어둠속에 갇히게 되다니 브린즈리에게 오늘밤은 정말 뒤죽박죽이다!
어둠속에서 브린즈리의 아파트를 하나 둘씩 방문하기 시작하는 이웃집 주인과 손님들.. 점점 좁혀오는 숨 막히는 상황 속에서 가난한 예술가 브린즈리는 과연 어떻게 이 난관을 극복해 나갈 것인가. 그의 아파트 이곳저곳에서 알 수 없는 비명들이 들리기 시작한다!
□ 작품소개 및 특징
피터쉐퍼의 ‘블랙코메디’ 는 암전 속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풍자적이고 재밌게 풀어낸 극이다. 브로드웨이에 초연된 당시 “기상천외의 착상! 기지와 상상력이 흘러 넘치는 수준 높은 코미디” 라는 극찬을 들었고 1965년 7월 영국국립극단이 상연한 이후 그들의 레퍼토리로 4년간 올려지기도 했다.
이 극은 당대 계급사회 속에서 엿볼 수 있는 계층간의 차별, 그리고 허위의식을 낱낱이 고발한다. 가난한 예술 조각가 브린즈리는 부자인 뱀버거와 장인인 멜케트에게 잘 보이기 위해 해롤드 집에서 가구를 훔친다. 이때 브린즈리 집에 암전이 되면서 해롤드와 이웃들이 그의 집에 모두 모이게 된다. 이때 브린즈리와 캐롤은 도둑질을 들키지 않기 위해 원위치로 가구를 돌리려한다.
그러던 중 옛 애인 클레아가 돌아오고, 브린즈리의 결혼까지 파국으로 치닫게 된다. 휴즈를 고치러 온 전기공 슈판찌히는 모두에게 무시를 당하지만 결국 그들에게 유일하게 빛을 선물한 인물이라는 점에서도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들이 기다렸던 뱀버거는 허무하게 뚜껑 속에 빠져버리고 슈판찌히가 불을 밝히며 모든 전말이 밝혀진다. 전반적으로 비극적인 서사로 진행되지만 겉보기엔 해학적인 것이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이다.
□ 극단대학로극장 소개
극단 대학로극장은 1989년 대학로극장을 개관하며 창설된 중견극단으로써 창작극 활성화와 소극장연극의 대중화를 위해 힘써왔다. 그러던 중 젊은 연출가 이우천이 2010년부터 새로이 극단 대표로 취임하면서, 보이는 현상이 아닌 그 현상 이면에 감춰진 진실에 천착하여 우리 사회의 많은 불합리와 폐단을 고발하고 그것에 대한 대안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노력하는 극단이다.
2010 제 22회 거창국제연극제 대상, 연출상, 희곡상
[엘리엘리 람나 사박다니]
12014 제 7회 대한민국연극대상 작품대상, 작품상, 연출상, 연기상
[색다른 이야기 읽기 취미를 가진 사람들에게]
12016 제 37회 서울연극제 희곡상, 연기상
[장판]
12018 제 18회 포항바다국제연극제 작품상, 연출상
[청산리에서 광화문까지]
12019 제 40회 서울연극제 희곡상
[중첩]
12020 춘천국제연극제 최우수작품상, 우수연기상
[기쁜 우리 젊은 날]
12021 제42회 서울연극제 연기상 수상
[노인과 여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22021 제18회 고마나루 연극제 은상, 최우수 연기상 수상
[배뱅이 굿]
□ 주요제작진(스태프)
예술감독 이우천, 연출 박준상, 조연출 엄희준, 기획 박지연,
조명 황교성, 무대 손기태, 소품 이승빈 음향 박소현.
□ 주요 출연진
브린즈리 전민영, 캐롤 오혜진, 해롤드 송은석, 퍼니벌양 최소영,
멜케트 현승철, 클레아 김다, 슈판찌히 이황, 뱀버거 황교성.
오형석 기자 yonsei6862@gmail.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