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시민 참여형 '국가안전대진단 '추진…2200여 시설물 안전점검
상태바
서울시, 시민 참여형 '국가안전대진단 '추진…2200여 시설물 안전점검
  • 여호수 기자
  • 승인 2021.08.31 12: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1~10.29까지 국가안전대진단…노후‧고위험 시설물 2200여개 소 안전점검

분야별 전문가, 유관기관 합동점검, 드론 등 첨단기술 활용해 안전사각지대 해소
'2021 국가안전대진단' 포스터(이미지_서울시)
'2021 국가안전대진단' 포스터(이미지_서울시)

[시사매거진] 서울시는 오는 9월 1일 수요일부터 10월 29일 금요일까지 국가안전대진단 기간으로 정하고 노후건축물, 철거·굴토 공사장, 다중이용시설 등 2,200여 시설물에 대한 집중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최근 사고발생 시설, 다중이용시설, 노후시설 등이 집중 점검대상이며, 최근 3개월 이내 점검시설과 코로나19 대응 시설물인 의료기관, 수련시설, 또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래방, PC방, 민간체육시설 등은 현장점검 대상에서 제외됐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비대면 상황에 맞춰 진행된다. 점검은 시설물 분야별 전문가, 유관기관 등과 합동으로 점검하고, 접근이 어려운 곳에는 드론 등의 첨단기술을 활용해 안전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 안전관리자문단 및 지역 건축사협회 등 지역내 전문가들과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시설물 안전상태 및 유지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의견을 청취하도록 했다.

더불어 시민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지역의 시민모임인 더 시민 안전 모임, 안전보안관, 자율방재단 등이 지역의 안전 활동의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민 스스로 내 집, 점포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도록 안전신문고 앱에서 자율 안전점검표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점검표에 따라 점검한 후 앱에서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 지역모임 밴드(SNS), 안전신문고, 응답소 등을 이용한 비대면 방식의 안전신고 활동을 추진하고, ‘안전신고 포상제’ 등을 통하여 시민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대진단 점검결과 신속하게 후속조치하고, 안전점검 결과는 ‘안전점검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공개되며, 시설물의 정보 및 점검결과, 이력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조치하고, 중대한 사항은 보수·보강, 사용중지, 대피명령 등 신속한 행정조치를 취하도록 했다.

여호수 기자 hosoo-1213@sisamagazine.co.kr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