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에 국립해양문화시설 건립이 필요하다
상태바
전북에 국립해양문화시설 건립이 필요하다
  • 하태웅 기자
  • 승인 2021.08.10 23: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에서 두 번째로 넓은 바다가 있음에도 불구, 국립해양문화시설 부재로 해양 문화 향유의 기회 불균형
해양수산부 산하 국책기관 및 제2차 해양관광진흥기본계획에도 전북이 해양 문화시설이 전무하여 인프라 확충 필요 지적
최근 해양수산부는 수도권 및 내륙권 지역에 해양 문화 격차 및 불균형 해소를 위해 국립인천해양박물관 및 미래해양관 건립 추진
지역별 해양문화시설 분포현황(캡처-전북도)
지역별 해양문화시설 분포현황(캡처-전북도)

 

[시사매거진/전북] 해양자원이 풍부한 전북에 국립해양문화시설을 건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연구원(원장 권혁남)은 10일 이슈브리핑 ‘바다해양자원이 풍부한 전북, 국립해양문화시설 건립이 필요하다(통권 246호)’를 발간하였다고 밝혔다.

국립해양문화시설은 국립해양과학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등대박물관,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등을 의미한다.

전북연구원이 발간한 이슈브리핑에 따르면 해양자원 및 해양 여건이 우수한 전북에 국립해양문화시설이 없어 해양문화향유 기회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국립해양문화시설 건립을 통해 해양문화 확산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의 해안선은 548.5㎞이며 우리나라 전체 해안선의 3.7% (14,962.8㎞)를 차지하고 있고, 육지부 해안선 249.05㎞ 중 자연 해안선은 40.4%, 인공해안선은 59.6%를 차지하고 있다.

전라북도의 바닷가 면적은 3.06㎢로 전체 바닷가 면적(17.65㎢)의 17.3%를 차지하고 있어, 전남(50.4%)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해양 연안 11개 지역 중 전라북도의 어촌체험 마을 이용객수 비율은 전국에서 4번째(12.1%)다.

이처럼 해양자원 및 여건이 우수한데도, 해양이 있는 지역 중 유일하게 전북이 해양문화시설이 부재하여 해양문화시설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내용은 해양수산부 국책기관의 경우도 지적한 바 있다(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 지역별 해양문화시설 분포현황: 전남(27.8%), 서울․인천․경기(16.3%), 경남(11.6%), 부산(11.6%), 경북(9.3%), 울산(4.7%), 강원(4.7%), 제주(9.3%), 전북(0%)(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해양수산부 역시 ‘제2차 해양관광진흥기본계획(2013~2023년)’에서도 해양문화시설이 전남‧경북‧경북이 전체의 55.8%를 보유한 반면, 전북의 경우 해양문화시설이 전무하여 균형투자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해양수산부는 최근에 수도권의 해양 문화 향유 기회 불균형 해소를 위해 ’국립인천박물관(‘19~’23) 건립과 내륙권의 균형발전 실현 및 내륙 지역민의 해양의식 고취를 위해 청주에 ’미래해양박물관(‘20~’24)’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연구원 이동기 선임연구위원은 “전북은 해양자원 여건 및 자원이 우수하고 미래 해양문화 관광의 성장 가능성이 큰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해양 문화시설이 부재하기 때문에 해양문화향유 기회 확대 및 균형발전 차원 측면에서도 국립해양문화시설이 반드시 건립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전북연구원은 국립해양문화시설 건립을 위해 4차산업 및 해양에너지 등을 연계한 국립해양과학관, 국립해양근대유산 박물관, 국립미래해양교통과학관(또는 박물관) 등의 사업을 제안하였다.

전북의 해양은 역사적으로 중요 어장을 보유하여 어업 경제 및 해양 문화 생활권을 형성하였으나, 해양문화시설의 불모지역으로 타 지역에 비하여 해양문화체험 및 접근성에 차별을 받고 있어 해양문화 향유의 기회 확대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지역이다.

하태웅 기자  ktshtw@hanmail.net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