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IST, 석·박사 경영전문대학원 김태현 총장
상태바
aSSIST, 석·박사 경영전문대학원 김태현 총장
  • 박희윤 기자
  • 승인 2021.08.09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핀란드 알토대, 미국 뉴욕주립대 등 해외 명문대와 석·박사과정 운영

[시사매거진278호] aSSIST 경영전문대학원(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 김태현)은 국내 최초로 MBA 과정을 도입한 석·박사중심 경영대학원이다. 석사과정으로는 핀란드 알토대( 헬싱키경제대), 미국 뉴욕주립대와 공동 운영하는 복수학위 MBA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박사과정으로는 스위스 로잔비즈니스스쿨, 프랭클린대와 복수학위 경영학 박사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매년 20여개 기업과 핵심인재 육성을 위한 맞춤형 기업 인하우스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7·8대 총장을 역임하고 제9대 총장으로 aSSIST를 이끌어 나가고 있는 김태현 총장을 만나보았다.
 

aSSIST, 석·박사 경영전문대학원 김태현 총장
aSSIST, 석·박사 경영전문대학원 김태현 총장

aSSIST에 대한 소개

aSSIST 경영전문대학원은 산업정책연구원에서 1995년부터 진행해 온 교육프로그램을 이관하여 2004년 지속경영을 위한 전문 경영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됐다.

aSSIST는 차별화된 지속경영-4T’라는 교육철학을 가지고 윤리경영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교육철학인 지속경영-4T’는 윤리(eThics),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팀워크(Teamwork), 기술(Technology)을 뜻하며, 경영인재들의 윤리의식과 사회책임경영, 지속경영 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aSSIST‘2021 WURI랭킹에서 글로벌 종합 87, 윤리적 가치 18, 학생의 교류 및 개방성 26, 산업계 적용(Industrial Application) 37위를 차지했다.

 

aSSIST 경영전문대학원은 국내 최초로 MBA 과정을 도입한 석·박사중심 경영대학원이다.
aSSIST 경영전문대학원은 국내 최초로 MBA 과정을 도입한 석·박사중심 경영대학원이다.

aSSIST의 경영학 석·박사과정 특징은

aSSIST는 해외대학 복수학위 과정을 국내에서 최장 기간 운영함으로써 전문성과 명성을 갖추고 있다. 본교의 모든 입학생은 국내 경영학 석사, 박사학위와 함께 핀란드 알토대, 미국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스위스 로잔비즈니스스쿨, 프랭클린대 등 해외 명문대학의 복수학위를 최단 기간인 1년 반 이내에 취득할 수 있다.

특히, 핀란드 알토대 MBA1995년 국내 최초로 개설된 글로벌 Executive MBA 과정이다. 알토대 경영대학은 1911년에 설립된 헬싱키경제대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받은 유럽 명문대학교다. 최근에는 스타트업의 요람이자 소통과 대화를 통한 산학연 단지의 혁신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교육생들은 경영이론과 다양한 사례 분석 등을 통해 실무역량을 높이고 비즈니스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국내 단일 MBA 최대 동문네트워크라는 강점을 살려 동문들 간의 교류 활동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2017년에는 Maria Lohela 핀란드 국회의장이 aSSIST를 방문하여 200여 동문들과 친교 시간을 가졌고, 2018년 핀란드 노동부 장관과 8명의 경제사절단의 본교 방문, 2019년 주한 핀란드 무역대표부가 주관한 핀란드데이 행사 등은 aSSIST가 핀란드 정부와 주한 핀란드대사관과 우호관계를 맺으면서 우리나라와 핀란드 양국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도록 돕고 있다. 2020년 문재인 대통령의 핀란드 국빈방문 시에는 Aalto 대학교를 방문하여 aSSISTAlato 대학과의 복수학위 제도에 대하여 관심을 표명하셨다.

미국 뉴욕주립대 MBA는 기술경영 MBA과정으로 이공계 출신 기업 실무자에게 경영 역량과 비즈니스 마인드를 배양함으로써 CTO(최고기술경영자) 및 테크노경영 리더 육성을 목표로 한다.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은 전 세계 대학 중 1% 최상위 대학으로 선정(QS World University Rankings)된 바 있으며, 특히 기술경영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경영학 박사과정은 매년 30여 명의 박사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다. 지난 6월 기준 국내 박사 재학생은 91, 졸업생은 227명이다. 박사 졸업생들이 학술지에 등재한 누적 논문 수는 총 446편에 달한다. 로잔비즈니스스쿨, 프랭클린대학교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복수학위 석사과정도 있다. 본 과정은 격주 주말 수업 3년 내 학위 취득이 가능하며, aSSIST의 경영학 박사학위 Ph.D.(Doctor of Philosophy)와 로잔비즈니스스쿨 혹은 프랭클린대학교의 DBA(Doctor of Business Administration)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디지털 교육 업무 협약식
디지털 교육 업무 협약식

기업 맞춤형 교육도 하고 있다는데

aSSIST는 기업 핵심인재교육 NO.1 교육기관이다. 국내 경영환경과 해외 선진 MBA를 접목하여 각 기업의 니즈에 맞는 최적화된 기업 맞춤형 교육을 설계, 운영하고 있다. LG전자, KB금융그룹, 한국전력공사, 현대중공업, KT 200여 개의 대기업, 다국적 기업, 금융사, 언론사, 정부기관에서 핵심인재 및 경영자를 지속 파견 중이고 교육에 대한 높은 만족도 평가를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KOTRA 아카데미와 함께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과정’,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독서모임인 경영자독서모임’, 문화예술경영인을 위한 ‘4T 문화예술최고위 과정등 다양한 단기 교육 과정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aSSIST의 동문 상황은 어떠한가

aSSIST의 동문은 12천 명이 넘는다. (석사과정 5500여 명, 박사과정 230여 명, 단기과정 6500여 명 등 주요 동문으로는 알토대 MBA를 졸업한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 권봉석 LG전자 CEO 사장 등이 있으며 최고위과정을 수료한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이희범 경북도문화재단 대표이사, 산업자원부 장관, 문규영 아주그룹 회장 등이 있다.

 

aSSIST미래 비전은

중기적인 비전으로는 프랑스의 INSEAD, 영국의 LBS(London Business School)과 같이 한국을 대표하는 Business SchoolaSSIST를 성장시키고자 하며, KAIST가 자연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학교인 것 처럼 aSSIST를 사회과학 분야에서 한국과 세계에서 최고의 학교로 성장 발전시키는 비전이 있다.

2021 WURI랭킹(The World’s Universities with Real Impact Ranking)은 국제경쟁력연구원이 주관하는 대학평가지표다. 미래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 달라는 기업과 사회의 요구에 맞추기 위한 혁신적인 대학들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기존 대학평가와는 달리 대학별 혁신 프로그램을 사례별로 정성 평가해 종합 랭킹과 부문별 핵심지표 랭킹을 발표한다.

평가에는 총293개 고등교육기관이 참여했으며 평가자들은 이들 대학의 프로그램을5개 분야로 나눠 각각50위까지 순위를 매긴다. 분야는산업계 적용(Industrial Application), 기업가정신(Entrepreneurial Spirit), 윤리적 가치(Ethical Value), 학생의 교류 및 개방성(Student Mobility and Openness),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100위까지 종합 순위를 부여하기도 한다.

박희윤 기자 bond003@sisamagazine.co.kr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