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광주전남]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나명하)는 최근 코로나19로 힘든 시기를 보내는 국민에게 봄의 정취를 즐길 수 있도록 4대궁과 종묘, 조선왕릉의 봄꽃 개화시기를 안내했다.
올해 궁궐과 조선왕릉의 봄꽃은 평년보다 2~7일 정도 빨리 상춘객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된다. 14일부터 28일까지로 개화가 가장 먼저 예상되는 창덕궁 후원 관람지와 창경궁 경춘전 뒤편 화계(花階, 계단식 화단) 일원의 노란 생강나무 꽃을 시작으로, 3월 중순부터 5월말까지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과 종묘 등 4대 궁궐과 종묘 일대에서는 개화시기가 서로 다른 매화와 앵두, 살구, 벚나무 등 의 봄꽃들이 앞 다퉈 피어나면서 아름다운 전통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식생환경과 다양한 관람객 편의시설 등을 정비 완료한 조선왕릉 산책길 곳곳에서도 산수유, 매화, 복사, 진달래, 앵두 등 아름다운 꽃나무와 들꽃이 봄의 기운과 더불어 하루가 다르게 피어난다.
궁궐과 조선왕릉의 봄꽃은 3월 중순을 시작으로 4월에 절정을 이루고 5월 말까지 이어지는데 봄꽃 개화시기에 궁궐과 조선왕릉을 답사하면 향긋한 봄내음 가득한 고풍스러운 옛 정취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위해 ‘관람객 간 3m 이상 거리 두기’, ‘숲길 내 일방통행하기’, ‘화장실 등 다중이용시설을 비롯한 전 구간 마스크 항시 착용’ 등 관람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관람객들에게 꾸준히 안내할 계획이다. 또한, 전 직원 마스크 착용, 입구마다 손세정제 비치 등 안전하고 청결한 궁능 관람시설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 궁궐·종묘
구 분 |
장 소 |
식 물 |
꽃피는 시기 |
비고 |
경복궁 (☎02-3700-3900) |
아미산(교태전 후원) |
앵두나무 |
4.2.~4.25. |
- |
흥례문 어구 |
매화나무 |
3.18.~4.12. |
- |
|
자경전 주변 |
살구나무 |
3.24.~4.15. |
- |
|
경회루지, 수정전 주변 |
능수벚나무 |
3.22.~4.18. |
- |
|
창덕궁 (☎02-3668-2300) |
관람지(반도지) 지역 |
생강나무 |
3.14.~3.28. |
- |
낙선재 |
매화나무, 능수벚나무 |
3.18.~4.12. |
- |
|
낙선재 화계 |
모란 |
4.23.~5.05. |
- |
|
대조전 화계 |
앵두나무 |
4.2.~4.25. |
- |
|
희정당 앞, 낙선재 앞 |
산철쭉 |
4.2.~5.10. |
- |
|
창경궁 (☎02-762-9515) |
옥천교 어구 |
자두나무 |
3.27~4.20. |
- |
경춘전 화계 |
생강나무 |
3.14.~3.28. |
- |
|
경춘전 화계 |
앵두나무, 진달래 |
3.23.~4.25. |
- |
|
홍화문~온실 |
산철쭉 |
4.2.~5.10. |
- |
|
옥천교 어구, 환경전 |
살구나무 |
3.24.~4.15. |
- |
|
덕수궁 (☎02-771-9951) |
대한문~중화문 |
왕벚나무 |
3.22.~4.15. |
- |
석어당 앞 |
살구나무 |
3.24.~4.15. |
- |
|
석조전 뒤 오솔길 |
산철쭉 |
4.2.~5.10. |
- |
|
함녕전 뒤 |
모란 |
4.10.~4.25. |
- |
|
종 묘 (☎02-762-3551) |
관람로 주변 |
진달래, 철쭉 |
3.23. ~ 5.10. |
- |
향대청, 영녕전 주변 |
개나리 |
3.24. ~ 4.15. |
- |
|
향대청, 재궁 앞 |
자두나무 |
3.29. ~ 4.15. |
- |
□ 조선왕릉
구 분 |
장 소 |
식 물 |
꽃피는 시기 |
비고 (숲길안내) |
구리 동구릉 (☎031-567-5909) |
양묘장, 자생화단, 관람로 |
진달래, 복사나무, 쪽동백, 때죽나무, 생강나무, 산수유 |
3.25.~4.30. |
|
남양주 광릉 (☎031-527-7105) |
광릉 재실~정문 |
산수유, 진달래, 벚나무 |
3.29.~4.30. |
금천교-정자각 (350m) |
남양주 사릉 (☎031-573-8124) |
관람로, 산책로, 양묘장 |
진달래, 산수유, 들꽃 |
3.25.~5.30. |
홍살문-양묘장 (550m) |
남양주 홍릉과 유릉 (☎031-591-7043) |
정문, 외재실~영원 둘레길 |
산벚나무, 수양벚나무 |
4.1.~4.15. |
- |
서울 태릉과 강릉 (☎02-948-5668) |
태릉 광장, 관람로 |
생강나무, 산수유, 진달래, 철쭉 |
3.23.~4.30. |
- |
서울 정릉 (☎02-914-5133) |
산책로 |
진달래, 산벚나무 |
3.23.~4.20. |
- |
서울 의릉 (☎02-964-0579) |
관람로, 산책로, 관람로 |
진달래, 산벚나무, 산철쭉, 아그배나무 |
3.23.~5.30. |
소나무 숲길 (370m) |
서울 선릉과 정릉 (☎02-964-0579) |
산책로 |
산수유, 때죽나무 |
3.17.~4.17. |
- |
서울 헌릉과 인릉 (☎02-445-0347) |
산책로, 관람로 |
진달래, 때죽나무 |
3.23.~5.25. |
오리나무 숲길 (230m) |
고양 서오릉 (☎031-359-8905) |
관람로, 산책로 |
산벚나무 |
4.1.~15. |
서어나무 숲길 (4,000m) |
화성 융릉과 건릉 (☎031-222-0142) |
관람로, 산책로, 재실 주변 |
진달래, 산수유 |
3.23.~4.10. |
초장지길 (770m) |
파주 삼릉 (☎031-941-4208) |
재실 주변, 관람로, 산책로 |
진달래, 미선나무, 산벚나무, 산수유 |
3.29.~4.30. |
- |
김포 장릉 (☎031-984-2897) |
재실과 연지 주변, 관람로 |
진달래, 산벚나무 |
3.23.~4.15. |
연지 둘레길 (580m) |
파주 장릉 (☎031-945-9242) |
관람로, 산책로 |
진달래, 때죽나무 |
3.29.~4.30. |
- |
여주 영릉(英陵)과 영릉(寧陵) (☎031-885-3123) |
진달래숲길 |
진달래 |
4.1.~4.10. |
진달래길 (700m) |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