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전남연구원, 광주전남 AI 특화사업 발굴 10대 과제 제안

[시사매거진/광주전남]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지역사회도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AI 특화사업 발굴이 적극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전남연구원(원장 박재영)은 “지난 18일 <광주전남정책Brief(브리프)> ‘2021년 부처별 인공지능 분야 동향과 시사점’을 발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획재정부 등 주요 부처의 인공지능 분야 사업 계획을 분석, 광주형·전남형 뉴딜 사업과 연계한 사업 마련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는 등 정부 부처의 다양한 인공지능(AI) 사업에 대응해 광주와 전남의 인공지능 분야 집중 육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광주전남정책Brief’에 따르면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각 부처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5G,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성장기반 구축, 역량 강화,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의 인공지능 관련 사업은 스마트가전, 스마트농업, 인공지능의료인프라, 스마트그린산단, 철강-AI, 스마트수산·양식 등 광주·전남 지역과 밀접한 사업을 포함한다.
광주전남연구원 인공지능지원연구센터는 부처별 해당사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실·국별 맞춤형 대책 수립과 인공지능 관련 정부 공모사업을 고려한 지역의 특화사업 발굴이 필요하다고 시사했다.
인공지능지원연구센터는 광주 AI데이터센터 활용, 주민 데이터 기부·활용 활성화 제도 마련, 디지털 기반 환경 안전망 구축, AI 통합돌봄서비스 시스템 구축, AI융합 콘텐츠 제작 및 비대면 문화서비스 지원, 스마트 공공보건의료 인프라 구축, 사회간접자본 디지털화, 데이터 기반 농업 지향, 해양수산·항만 분야 스마트화, 지능형 철강신산업 거점 육성을 10대 추진과제로 제시했다.

한경록 인공지능지원연구센터장은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신기술 융합을 통한 주민 맞춤형 공공서비스 제공, 모바일 기반 비대면 서비스 강화로 신속한 스마트 업무환경인 ‘지능형 지방정부’를 구현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기존 산업의 고부가화와 디지털 생태계 형성,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이뤄내 한국판 뉴딜의 성공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