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제주도에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된다
상태바
전국 최초로 제주도에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된다
  • 오형석 기자
  • 승인 2021.03.21 2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유식 해상풍력·신재생에너지 저장·공유 모빌리티로 도시 공간 혁신 꾀한다
전기차 비중 높아 역할 잃은 주유소, 공유 모빌리티 거점 및 신재생에너지 활용처로 재탄생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사진제공_제주도청)

[시사매거진/제주] 제주에 전국에서  최초로 바다 위에 떠있는 풍력 발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된 전기를 전기차 등에 연계하는 스마트허브 도시가 구현된다.

제주도는 산업통상자원부의 MW급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270억원을 확보했다고 19일 밝혔다.

국책 프로젝트인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은 바다 위에 떠 있는 고정된 부유체에 풍력발전기기를 설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육상과 해상의 고정식 풍력 발전기의 단점으로 거론되는 부지 부족과 소음, 해양 경관 등의 환경 피해 문제는 물론, 어업인과 양식장들의 피해를 줄이는 대안이 될 것으로 제주도는 기대하고 있다.

2017년 스코틀랜드가 세계 최초로 부유식 해상풍력단지(30㎿)를 가동한 데 이어 2020년에는 포르투갈이 두 번째로 부유식 해상풍력단지(25㎿)를 조성한 상태다.

제주도는 제주에너지공사의 풍력발전단지 운영 경험과 각 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바탕으로 2025년 4월까지 8MW급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 1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는 도내 8100가구에 연간 2만4528MW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제주도는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운영 중인 파력발전소 시험장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터빈을 제작하고, 1년간의 검증을 거쳐 2025년 상반기 상용화 풍력발전단지를 대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20억원의 전력 판매 수익금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와 공유모빌리티를 연계하는 스마트허브 도시도 조성된다. 스마트시티 사업 중에서도 규모가 가장 큰 시티 챌린지 부분에 제주가 선정돼 앞으로 2년간 220억원이 지원된다.

생산된 신재생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이동·충전하고, 전기차나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의 그린 모빌리티에 충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산업 전환을 유도한다.

높아진 전기차 비중에 이용률이 감소하는 주유소를 '스마트허브'로 전환해 공유모빌리티를 대여·반납·충전할 수 있는 거점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스마트허브 모델이 다양한 이동수단을 활용한 이동성을 확보하고, 신재생에너지 활용처 확대로 모든 도시공간을 연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원희룡 지사가 기자들에게 브리핑을 하고 있다.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과 스마트시티 허브 사업은 청정에너지를 생산, 저장, 활용하는 획기적인 그린에너지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며 "전국에서 가장 앞서고, 최초이자 유일한 스마트 도시 제주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희룡 지사 ‘미래형 신재생에너지 혁명의 섬’ 모두 발언

도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제주는 지난 10년 간 탄소없는 섬(CFI)을 추진한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판 뉴딜, 그린뉴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제주의 청정 바람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깨끗한 수소로 전환하여 저장하고 전기차, 드론 등 미래형 모빌리티에 활용하는 스마트한 미래, 신산업으로 새로운 먹거리를 키워가는 것이 제주형 그린뉴딜의 비전과 지향입니다.

최근 제주도는 부유식(浮遊式) 해상풍력개발, 스마트시티 허브 사업지로 연이어 선정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시작된 ‘그린수소 개발 프로젝트’와 함께 탄소중립 생태계를 구축하는 핵심 사업이자 ‘저탄소 스마트 제주’로 나아가는 중요한 초석이 될 것입니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은 말 그대로 ‘바다 위에 떠 있는 풍력발전’입니다. 바다에 떠 있는 구조물에 풍력발전기를 세워 전기를 생산합니다. 먼 바다로 나가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식 풍력발전기의 단점인 소음, 해안 경관 훼손, 어장 등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해안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발전에 유리한 양질의 바람이 불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제주의 아름다운 경관과 환경을 보전하면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신기술입니다.

‘스마트시티 허브’ 사업은 제주에서 생산된 전력과 그린수소의 깨끗한 에너지를 전기차와 드론 등 미래형 이동수단에 공급·충전하고, 도민들이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실증모델입니다.

전기차 비중이 높아지며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유소를 전기 충전소 또는 공유모빌리티 대여장소 등으로 이용하고 드론의 거점 이착륙 포트로 활용하게 됩니다. 기존 화석연료 기반인 내연차 관련 산업과의 공존과 상생이자 전환을 위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과 스마트시티 허브 사업은 그린수소 실증단지 프로젝트와 더불어 청정에너지를 생산-저장-활용하는 획기적인 그린에너지 생태계를 만들 것입니다. 전국에서 가장 앞서고, 최초이자 유일한 스마트 도시 제주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입니다.

이처럼 제주가 대한민국의 그린뉴딜을 선도할 수 있는 것은 그동안 ‘탄소없는 섬(CFI)’을 목표로 함께 노력한 기업, 학계, 연구자들의 열정 덕분입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참여해주신 도민들의 응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성과입니다.

우리의 미래 세대를 고민하고, 뜻을 모아주신 모든 분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청정에너지가 주는 이익은 앞으로 모두 도민에게 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산업을 키워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정에너지가 더욱 편리하게 생활 속에서 활용되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사업에 더 많은 제주 기업을 참여시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육성하고, 인재를 지속적으로 양성하겠습니다. 제주의 자연이 만들어 낸 재생에너지는 대한민국의 미래형 에너지 복지 실현과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소중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대한민국 신재생에너지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제주의 여정에 도민 여러분의 변함없는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제주도정은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제주의 더 큰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형석 기자  yonsei6862@gmail.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