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5년까지 40개 공공 도서관 추가 확충 예정
상태바
서울시, 2025년까지 40개 공공 도서관 추가 확충 예정
  • 여호수 기자
  • 승인 2021.02.17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263억 투자해, 공공도서관 12개소 건립

기존 작은 도서관, 장애인도서관 등 547개소에 장서 구입비 등 총 121억 지원
도봉산 한옥도서관 조감도(이미지_서울시)
도봉산 한옥도서관 조감도(이미지_서울시)

[시사매거진] 서울시가 지역 간 지식 정보격차를 완화하고 시민들의 도서관 서비스 향유권을 확대하기 위해 2025년까지 도서관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40개 공공도서관을 추가로 확충한다. 올해는 도봉구 '한옥도서관', 중랑구 '면목동도서관' 등 7개 자치구 12개 구립 도서관 건립에 착수한다. 

도서관 인프라 확충과 함께 기존 도서관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투자도 이뤄진다. 작은 도서관, 장애인도서관을 포함한 자치구 공공도서관 547개소에 장서 확충 등을 위한 운영비 121억 원을 지원한다. 태어나자마자 책을 접하며 독서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18개월 이하 영유아에게 책 꾸러미를 선물하는 ‘북스타트’도 2019년 첫발을 시작으로, 올해도 4만여 명에게 지원한다. 

서울시는 누구나 집 근처 도서관에서 지식‧정보‧문화를 누리도록 한다는 목표로 올해 총 263억 원을 투자해 공공도서관 건립과 운영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지원 분야는 공공도서관 건립 지원(130억 원), 도서관 운영 지원(121억 원), 세대별 독서문화 프로그램 지원(12억 원) 크게 세 가지다.

먼저, 서울시는 공공도서관 건립을 지속적으로 지원, 지난 20년간 154개 공공도서관(구립)을 확충했다. 특히 2019년부터는 ‘지역균형발전’에 방점을 두고 도서관 소외지역에 공공도서관을 집중 건립하고 있다.

작년에 자양한강도서관(광진구), 손기정 어린이도서관(중구) 등 9개 구립 도서관이 개관한 데 이어, 올해는 130억 원을 투입해 12개 구립 도서관 건립을 지원한다. 시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40개소를 추가로 확충해 배움·소통·교류·문화생활을 위한 공공시설이라는 도서관의 역할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다음으로, 도서관별로 격차 없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기 위해 25개 자치구 공공도서관 547개소에 장서 확충 등 운영비를 지원한다.

대상은 구립 공공도서관 전체 165개 관(74억 원)과 공·사립 작은 도서관 350개 관(7억 원), 장애인도서관 10개 관(7억 원), 교육청 도서관 22개 관(33억 원)이다. 

마지막으로,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세대별 맞춤형 온‧오프라인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코로나 속에서도 단절 없이 독서문화를 향유 할 수 있도록 비대면 환경과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도 지속 확대한다.

이정수 서울도서관장은 “서울시는 시민 누구나 지역 격차 없이 지식·정보·문화를 누리는 도시가 되고자 도서관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다”며 “단순히 책을 읽는 공간이 아닌 지식·정보·문화가 있는 공공시설로서 공공도서관의 양적·질적 성장을 지원하고,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여호수 기자 hosoo-1213@sisamagazine.co.kr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