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 기장군은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를 방문해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노선을 대도시권광역교통기본 및 시행계획에 우선 반영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8일 밝혔다.
최기주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위원장 및 국토부 관계자와의 면담에서 기장군수는 “부산노포~정관월평~양산웅상~울산무거~울산KTX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노선이 반영되면 기존 부산시 도시철도 신정선(노포~월평)이 광역철도 노선으로 포함된다.
이에 따라 기장군 5개 읍면지역이 광역철도망(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노선)·도시철도망(도시철도 기장선·정관선)·일반철도망(부산~울산 동해선)으로 연결되며, 정관신도시에서 울산방향으로의 교통수요가 사업의 편익(B/C) 등에 반영돼 경제성이 높아진다.
또 부산노포~정관월평~양산웅상~울산무거~울산KTX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노선이 도시철도 기장선·정관선의 유치를 위한 선제조건이다”고 설명하며 “현재 대광위에서 검토 중인 제4차 대도시권광역교통시행계획에 부산노포~정관월평~양산웅상~울산무거~울산KTX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노선을 반영해 줄 것”을 강하게 요청했다.
이어 기장군수는 “도시철도 기장선과 정관선의 단절구간은 이미 운행 중인 부산~울산 동해선으로 이으면 된다. 광역철도망과 연결된 정관 월평역에서 출발한 도시철도 정관선이 일반철도망인 부산~울산 동해선을 경유해 도시철도 기장선으로 이어진다. 기장군이 광역철도망·도시철도망·일반철도망으로 연결되는 사통팔달의 철도교통망 시대를 앞당길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이 사통팔달의 철도교통망은 원전사고 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유일한 대규모 교통수단이다. 17만5000여 명 기장군민의 생명을 지켜줄 유일한 생명선이다. 기장군은 세계 최대 원자력발전소 밀집지역으로 기장군민들은 지난 40여 년간 희생과 고통을 감내하며 국가전력 보급기지 역할을 해왔다. 이제는 중앙정부가 나서서 기장군민의 희생과 고통에 대한 보상을 할 차례다. 그 시작이 바로 도시철도 정관선⸳기장선이다”고 거듭 주장했다.
이에 최기주 위원장 및 국토부 관계자는 “기장군에서 건의한 부산~울산 광역철도망과 도시철도 기장선·정관선을 면밀히 검토해 보겠다.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B/C(비용편익분석)뿐만 아니라 AHP(계층화분석)도 중요하다. 이에 대한 사전준비를 철저히 한다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날 기장군수는 “좋은 말씀 감사드린다. 기장군에서는 B/C(비용편익분석)와 함께 AHP(계층화분석) 용역 등 철저한 준비를 해나가겠다”고 화답했다.
기장군은 도시철도 기장선(안평역~기장역~일광역)⇒일반철도 부산울산동해선(기장역~일광역~좌천역)⇒도시철도 정관선(좌천역~월평역)⇒광역철도(부산노포~정관월평~양산웅상~울산무거~울산KTX역)을 잇는 사통팔달의 철도교통망이 구축되도록 도시철도 기장선·정관선 유치에 전 행정력을 동원하고 있다.
기장군수를 단장으로 하는 ‘도시철도 기장선·정관선 조기유치TF팀’을 가동하고 2017년 9월 군민들을 중심으로 출범한 ‘도시철도 기장선·정관선 범군민유치위원회’와도 협조 체계를 강력히 구축해나가고 있다.
그동안 기장군은 도시철도 정관선, 기장선의 유치를 위해 지난 2012년부터 범군민 서명운동을 벌여 11만6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정부에 제출하고, 지난 1월 국토부 철도정책과 및 철도투자개발과를 방문하는 등 국회·기재부·교통부·한국연구개발원 등 지난 8년 동안 160여 차례에 걸쳐 관계 기관을 직접 찾아다니며 도시철도 유치에 총력을 쏟아 붇고 있다.
한편 노력의 결과 기장선의 경우 2012년 부산시 도시철도 기본계획 노선으로 반영되고 2013년 기재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으나, 2017년 3월 기재부의 KDI 최종심사 결과 경제성 부족으로 아쉽게 선정되지 못했고, 정관선의 경우도 2017년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노선으로 고시되고 2018년 4월 국토부 투자심의를 통과했으나 2018년 6월 기재부 사업선정 자문회의에서 미 선정된 바 있다.
한창기 기자 aegookja@sisamagazine.co.kr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