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산단 인근 주거지, 부동산 시장 ‘견인’
상태바
대규모 산단 인근 주거지, 부동산 시장 ‘견인’
  • 임지훈 기자
  • 승인 2021.02.04 1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매거진] 부동산 실거주 혹은 투자를 원하는 수요자들이 아파트 등 주택을 구입할 지역을 찾아볼 때 대규모 산업단지가 큰 호재로 떠오르고 있다 대규모 산업단지는 단순히 입주한 기업들의 군집을 넘어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다.

특히 대규모 산업단지 인근에 배후주거지가 조성된 경우 인구 유입이 대거 발생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자체적으로 자족 기능을 갖춘 지역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대규모 산업단지는 해당 지역의 평균 소득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은 물론이고, 고용 창출을 통해 해당 지역 부동산 수요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이에 수도권에도 대표적인 산업단지들이 있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기도 성남시에는 첨단산업단지인 판교테크노밸리가 위치해 있다. 1,300여 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고 6만4,000여 명의 종사자가 일하면서 인근 단지들의 배후수요로 떠올랐다. 지난해 제3판교테크노밸리(제3판교, 2022년 준공 예정) 착공에 들어갔으며 관련 내용이 그보다 앞선 2017년에 발표되면서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의 실거래 가격도 올랐다.

경기도 용인시와 화성시에는 삼성 나노시티 기흥·화성캠퍼스가 자리잡고 있다. 각각 1983년과 2000년에 가동됐으며 현재 약 30만㎡ 규모 및 4만여 명 이상의 임직원이 근무하는 대규모 복합 반도체 단지로 성장했다. 인근 동탄2신도시 아파트들은 분양 당시 이들 산업단지와 인접한 직주근접형 신도시에 들어선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산업단지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탄 북측 지역의 경우 풍부한 배후수요로 인해 현재도 남측 지역보다 시세가 높게 형성돼 있다.

이 가운데 GS건설은 2월 경기도 평택시 영신도시개발지구에서 ‘평택지제역자이’를 분양한다. 지하 2층~지상 27층, 10개동, 전용면적 59~113㎡ 총 1,052세대로 조성된다. 반경 약 2㎞거리에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비롯한 다양한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해 있다.

고덕면에 위치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는 앞서 2017년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했으며, 삼성전자는 오는 2025년까지 약 100조를 투자해 2~3개 이상의 생산라인을 증설할 계획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삼성전자 산업단지가 착공에 들어간 2015년 고덕면의 아파트 평균 시세는 전년대비 10.5% 상승했다. 직전 해인 2014년(3.9%) 상승률과 비교하면 착공 이슈와 함께 상승세가 두 배 이상 오른 셈이다. 이를 시작으로 세교동·동삭동 등 인근 평택지제역세권 일대까지 가치 상승 분위기가 확대될 전망이다.

 

임지훈 기자 cjs1210@hanmail.net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