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보이스피싱 심층분석」 대출사기형 보이스피싱 40~50대 주로 발생
상태바
「2020년 보이스피싱 심층분석」 대출사기형 보이스피싱 40~50대 주로 발생
  • 오운석 기자
  • 승인 2021.01.12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환대출 명목... 기존 대출금을 계좌이체 또는 직접 건네줄 것을 요구
전북경찰청(사진_전북청)
전북경찰청(사진_전북청)

[시사매거진/전북] 작년 한해 도내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건수가 전년에 비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보이스피싱 수법은 지능화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 도내 발생 보이스피싱은 발생건수 및 피해액 모두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20년 상반기부터 감소세를 보이면서 ’19년 대비 발생건수는 36%, 피해액은 20.6% 감소했다.

구 분

발생건수()

피해금액(억원)

소계

대출사기

기관사칭

소계

대출사기

기관사칭

‘17

611

518

93

59.1

39.1

20.0

‘18

771

673

98

78.0

60.0

18.0

‘19

970

844

126

155.6

119.5

36.1

 

 

 

 

 

 

 

’19

970

844

126

155.6

119.5

36.1

’20

621

503

118

123.5

95.8

27.7

대비(%)

-36

-40.4

-6.3

-20.6

-19.8

-23.3

 

’20년 일평균 1.7건 발생, 피해액 3,383만원(‘19년 일평균 2.7, 4,300만원)

 

대출사기형이 503건으로 81%, 기관사칭형이 118건으로 19%를 차지하고 있고, 피해자 연령별로는 50대가 190명(30.6%)으로 가장 높았으며, 40대 177명(28.5%), 20대 91명(14.7%), 60대 이상 85명(13.7%), 30대 78명(12.6%) 순으로 나타났다.

기존 대출금 변제시 대환대출을 해주겠다는 수법이 주로 사용되며 남성 피해가 여성 대비 1.5배로 높았고, 주피해 연령층은 대출수요가 많은 40~50대이며, 계좌이체를 이용하는 수법이 급감한 반면, 대면편취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피해자 유형별 분석(대출사기형)

(단위 : , %)

구 분

‘19

‘20

20

28

(3.3)

16

(1.9)

44

(5.2)

20

(4.0)

11

(2.2)

31

(6.2)

30

68

(8.1)

54

(6.4)

122

(14.5)

30

(6.0)

32

(6.4)

62

(12.3)

40

157

(18.6)

133

(15.8)

290

(34.4)

95

(18.9)

74

(14.7)

169

(33.6)

50

192

(22.7)

102

(12.1)

294

(34.8)

112

(22.3)

64

(12.7)

176

(35.0)

60대이상

61

(7.2)

33

(3.9)

94

(11.1)

45

(8.9)

20

(4.0)

65

(12.9)

합 계

506

(59.9)

338

(40.1)

844

(100)

302

(60.0)

201

(40.0)

503

(100)

남성의 피해가 크며, 특히 40~50대 중년층 남성에게 피해 집중

범죄수법 유형별 분석(대출사기형)

(단위 : , %)

구 분

금전요구 명목별 세부현황

공탁금,

예치금 등

이자선납

신용도

상향

각종

수수료

대환대출 (채무상환)

거래실적, 작업비용

기타

19

13

(1.5)

0

(0)

20

(2.4)

5

(0.6)

789

(93.5)

4

(0.5)

13

(1.5)

20

6

(1.2)

0

(0)

22

(4.4)

16

(3.2)

442

(87.9)

1

(0.2)

16

(3.2)

구 분

피해금 수취 유형

계좌

이체

특정장소 (보관함 등)

배송형 (퀵서비스 등)

대면

편취

절취 (침입절도)

가상계좌이체

현금 외

(상품권 등)

피싱

혼합형

19

830

(98.4)

0

(0)

0

(0)

6

(0.7)

1

(0.1)

0

(0)

6

(0.7)

4

(0.5)

20

287

(57.1)

0

(0)

5

(1.0)

202

(40.2)

0

(0)

0

(0)

8

(1.6)

1

(0.2)

대환대출 명목으로, 기존 대출금을 직접 건네받는 대면편취 대폭 증가

주요 수법

(계좌이체) 코로나19 대출을 빙자하여 전화로 대출신청을 유도한 후 기존 대출업체 직원인 양 피해자에게 전화하여 ‘금융업법위반으로 고발되지 않으려면 기존 대출금을 국세청에 예치해야 한다’고 속인 후 계좌이체 편취

(대면편취)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면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다’고 속인 후 피해자를 만나 대출업체 직원을 사칭하여 위조된 상환증명서 건네주고 현금 편취

단속현황 전북경찰은 작년 한해 1,039명(구속 100명)을 검거하였으며, 구속자는 ‘19년 대비 4배(’19년 25명→’20년 100명) 증가하였다.

(검거사례) ’20. 12. 8. 전주시 완산구에서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면 정부지원 서민대출을 해 주겠다’고 속여 피해자로부터 2,400만원을 직접 건네받아 편취한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 검거 (구속 1명)

향후계획 앞으로도 전북경찰은 보이스피싱 단속을 강화하고, TV·라디오·신문 등 대중매체를 활용한 언택트 홍보로 피해예방에 주력하는 등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

 전국 보이스피싱 전년대비 발생현황

구 분

합계(A+B)

기관사칭형(A)

대출빙자형(B)

발생

건수

피해액

(억원)

발생

건수

피해액

(억원)

발생

건수

피해액

(억원)

2019.

37,667

6,398

7,219

2,506

30,448

3,892

2020.

31,681

7,000

7,844

2,144

23,837

4,856

대비(%)

-5,986

602

625

-362

-6,611

964

-15.9

9.4

8.7

-14.4

-21.7

24.8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